도수의 총합이 다른 두 집단의 분포 비교
'도수의 총합이 다른 두 집단의 분포 비교'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도수: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그 계급의 도수라고 해.
- 도수분포표: 많은 자료를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도수를 정리한 표야.
- 상대도수: 전체 자료에서 각 구간의 도수가 차지하는 비율로, 도수를 전체 자료 개수로 나눈 값이야.
- 히스토그램: 구간별 도수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야.
- 도수분포다각형: 도수를 나타내는 점들을 연결한 그래프로, 자료의 분포를 연속적으로 보여줘.
2️⃣ 핵심 개념
- 도수의 총합이 다른 두 집단의 분포를 비교할 때 주의할 점은 단순히 도수만 보면 안 된다는 거야. 왜냐하면 도수의 총합이 다르면 같은 구간의 도수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지.
- 예를 들어, 집단 는 학생 수가 명, 집단 는 학생 수가 명일 때, 어떤 구간 도수가 집단 는 고 집단 는 라고 해도, 집단 에서 그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더 클 수도 있어.
- 즉, 도수는 적지만 상대적인 크기는 클 수 있다는 것이야.
- 따라서 도수의 총합이 다른 두 집단의 분포를 비교할 때는 각 계급의 도수를 비교하는 것보다 상대도수를 비교하는 것이 더 적절해.
- 상대도수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같이 나타내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3️⃣ 예제 및 적용
- 두 학교의 학년 반의 시험 점수 분포를 비교해 보자.
학교는 학생 수가 명, 학교는 명이야. 점 이상인 학생이 학교에서는 명이고, 학교에서는 명이야. 도수로 보면 학교가 많지만, 학교의 상대적인 비율이 더 클 수도 있어. (학교 상대도수: , 학교 상대도수: ) - 히스토그램 또는 도수분포다각형으로 두 반의 점수 분포를 그려보면 이런 차이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지.
4️⃣ 개념 정리
- 도수의 총합이 다르면 같은 구간의 도수를 단순 비교하기 어려워서, 상대도수로 비교하는 게 좋아.
- 상대도수는 각 도수가 전체 자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야.
- 상대도수를 배우면 자료의 분포를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자료 집합도 비교할 수 있어.
도수의 총합이 다를 때 두 집단의 분포 모양 차이는 왜 중요할까?
도수가 더 적은 집단이 특정 구간에서 더 높은 상대적 비율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실생활에서 도수 총합이 다른 집단의 분포를 비교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도수의 총합이 다른 두 집단의 분포 비교'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도수의 총합이 다를 때 두 집단의 분포 모양 차이는 왜 중요할까?
도수가 더 적은 집단이 특정 구간에서 더 높은 상대적 비율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실생활에서 도수 총합이 다른 집단의 분포를 비교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EBS 수학의 답] 실생활 자료의 정리와 해석 - 전체도수가 다른 두 집단의 상대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