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도수'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도수: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그 계급의 도수라고 해.
  • 도수분포표: 많은 자료를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도수를 정리한 표야.

2️⃣ 핵심 개념

  • 상대도수는 도수분포표에서 전체 도수에 대한 각 계급의 도수의 비율을 말해.

  • 즉, (어떤 계급의 상대도수)=(그계급의도수)(도수의총합)\text{(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 \frac{(그 계급의 도수)}{(도수의 총합)} 로 계산해.

  • (그 계급의 도수)=(어떤 계급의 상대도수)×(도수의 총합)\text{(그 계급의 도수)} = \text{(어떤 계급의 상대도수)} \times \text{(도수의 총합)} 또한 알아두자.

  • 아래 표는 상대도수에 대한 예시야.

    키(cm\text{cm}) 도수(명) 상대도수
    140이상140^\text{이상} ~ 150미만150^\text{미만} 33 320=0.15\dfrac{3}{20} = 0.15
    150이상150^\text{이상} ~ 160미만160^\text{미만} 88 820=0.4\dfrac{8}{20} = 0.4
    160이상160^\text{이상} ~ 170미만170^\text{미만} 66 620=0.3\dfrac{6}{20} = 0.3
    170이상170^\text{이상} ~ 180미만180^\text{미만} 33 320=0.15\dfrac{3}{20} = 0.15
    합계 2020 11
  • 상대도수의 특징

    • 상대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이고, 모든 상대도수를 더하면 1이 돼.
    • 각 계급의 상대도수는 그 계급의 도수에 정비례해.
    • 상대도수는 각 계급의 도수의 비율을 쉽게 비교할 수 있어.
    • 각 계급의 도수나 도수의 총합이 큰 경우에 상대도수를 비교하는 것이 더 편할 수 있어.

3️⃣ 예제 및 적용

시험 점수 분포표에서 8080점 받은 학생이 44명, 전체 학생 수가 2020명이라면 8080점의 상대도수는 420=0.2\frac{4}{20} = 0.2야. 점수별 상대도수를 비교하면 어떤 점수대가 많은지 알 수 있어.


4️⃣ 개념 정리

  • 상대도수는 도수를 전체 자료 개수로 나눈 비율이야.
  • 상대도수분포표는 도수와 상대도수를 함께 보여줘서 자료의 분포를 더 잘 이해하게 해줘.
  • 상대도수의 합은 항상 1이 돼.
  • 공부할 때는 도수와 전체 도수를 꼭 확인하고 상대도수 계산에 적용하는 연습을 하자!
상대도수를 사용하면 자료를 어떤 점에서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실생활에서 상대도수를 활용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전체 도수가 달라지면 상대도수도 어떻게 변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상대도수'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상대도수를 사용하면 자료를 어떤 점에서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 실생활에서 상대도수를 활용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 전체 도수가 달라지면 상대도수도 어떻게 변할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상대도수 - 상대도수

  • favicon[EBS 수학의 답] 상대도수 - 상대도수의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