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도수분포표: 자료를 일정한 계급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도수를 정리한 표야.
- 변량: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이야.
- 계급: 변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는 구간이야.
- 도수: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그 계급의 도수라고 해.
2️⃣ 핵심 개념
히스토그램은 도수분포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로, 구간별 도수를 막대 모양으로 표현해.
가로축은 각 계급을, 세로축은 각 구간에 속하는 자료의 도수를 나타내.
각 직사각형의 가로 길이는 계급의 크기와 같고, 높이는 도수와 같아.
히스토그램 만드는 방법
- 가로축에 각 계급의 끝 값을 적는다.
- 세로축에 도수를 적는다.
- 각 계급에서 계급의 크기를 가로로 나타내고 도수를 세로로 하는 직사각형을 그린다.
히스토그램의 중요한 특징은 직사각형의 넓이의 총합이 계급의 크기와 총 도수의 곱과 같다는 것이야.
직사각형의 넓이는 로 구해. 즉 각 계급의 도수와 정비례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지.
히스토그램은 자료의 분포를 한눈에 보여줘서 어떤 구간에 자료가 몰려 있는지 알 수 있어.
3️⃣ 예제 및 적용
- 학생들의 시험 점수를 점씩 구간을 나누고 각 점수 구간에 속하는 학생 수를 히스토그램으로 그리면, 어떤 점수대에 학생이 많은지 알 수 있어.
- 하루 동안 시간대별 버스 승객 수를 시간 간격으로 나누고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면, 출퇴근 시간대에 승객이 많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히스토그램은 도수분포표를 나타낸 것이라서 자료의 분포를 쉽게 볼 수 있어.
- 가로축은 구간, 세로축은 각 구간에 속하는 자료의 도수야.
- 자료가 어느 구간에 집중되어 있는지, 자료의 분포 모양을 알 수 있으니 자료 해석에 매우 유용해.
- 히스토그램을 잘 이해하려면 도수분포표와 구간 나누기를 먼저 확실히 익혀야 해.
히스토그램에서 직사각형 넓이의 총합이 왜 전체 자료 개수와 같을까?
실생활에서 히스토그램으로 자료 분포를 알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도수분포표를 왜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히스토그램'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히스토그램에서 직사각형 넓이의 총합이 왜 전체 자료 개수와 같을까?
실생활에서 히스토그램으로 자료 분포를 알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도수분포표를 왜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할까?
[EBS 수학의 답] 히스토그램/도수분포다각형 - 히스토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