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분포표
'도수분포표'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변량: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이야.
2️⃣ 핵심 개념
계급: 변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는 구간이야. 예) 10점 이상 20점 미만
계급의 크기: 구간의 너비야. 즉, 계급의 양 끝 값의 차이지. 변량의 단위를 함께 써서 나타내.
계급값: 각 계급의 가운데 값이야.
도수: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그 계급의 도수라고 해.
도수분포표란?
도수분포표는 많은 자료를 일정한 구간(계급)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도수)를 정리한 표야. 이렇게 하면 자료의 분포를 한눈에 보기 쉬워져.키() 사람 수(명) ~ ~ ~ 도수분포표를 만들 때는 계급의 크기는 항상 같게 해야 해.
계급을 나눌 때에는 자료가 두 계급에 중복되어 속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
계급의 개수는 자료의 양과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야 해. 계급의 계수가 너무 적거나 많으면 자료의 분포 상태를 알아보기 힘들어.
도수분포표 만드는 방법
- 자료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찾는다.
- 계급을 나눈다.
-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세서 도수를 구한다.
- 도수분포표를 만든다.
도수분포표의 장단점
- 장점: 각 계급의 도수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자료의 분포 범위가 넓을 때 제한된 공간에서 많은 자료를 정리하기에 좋아.
- 단점: 자료 하나하나의 값을 정확하게 알 수 없고, 계급의 개수가 너무 많거나 적으면 자료의 특성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어.
3️⃣ 예제 및 적용
- 중학생 30명의 키를 조사했을 때, 140cm 이상 150cm 미만, 150cm 이상 160cm 미만, 160cm 이상 170cm 미만으로 계급을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학생 수를 세어 도수분포표를 만들 수 있어.
- 시험 점수 50점부터 100점까지 학생들의 점수를 10점 간격으로 계급을 나누고, 각 계급에 속하는 학생 수를 도수로 기록하는 표를 만들 수 있어.
4️⃣ 개념 정리
- 계급은 변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는 구간이야.
- 계급의 크기는 구간의 너비야.
- 도수: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말해.
- 도수분포표는 자료를 계급이라는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야.
- 도수분포표를 만들면 자료의 분포를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어.
- 자료를 정리할 때는 계급의 개수와 크기를 적절히 정하는 것이 중요해.
도수분포표에서 계급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까?
실생활에서 도수분포표를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는 무엇일까?
도수분포표의 합계 도수는 무엇을 의미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도수분포표'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도수분포표에서 계급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까?
실생활에서 도수분포표를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는 무엇일까?
도수분포표의 합계 도수는 무엇을 의미할까?
[EBS 수학의 답] 줄기와 잎 그림/도수분포표 - 도수분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