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와 잎 그림
'줄기와 잎 그림'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수의 자리값 개념을 알아야 해. 예를 들어, 53이라는 수에서 5는 십의 자리, 3은 일의 자리라는 거지.
- 자료 정리란 여러 개의 숫자나 정보를 보기 쉽게 모으는 방법이야. 예를 들어, 친구들의 시험 점수를 크기 순서대로 정리하거나, 점수 구간별로 몇 명인지 세는 방법도 있어.
2️⃣ 핵심 개념
줄기와 잎 그림은 자료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야.
- 줄기는 각 수의 큰 자리 수(십의 자리 등)를 나타내고,
- 잎은 각 수의 작은 자리 수(일의 자리 등)를 나타내.
이렇게 나누면 숫자의 크기와 분포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줄기와 잎 그림 그리는 순서는 다음과 같아:
- 각 수의 큰 자리 수를 줄기로, 작은 자리 수를 잎으로 분리한다.
- 세로선을 귿고 왼쪽에는 줄기를 작은 수부터 쓴다.
- 세로선의 오른쪽에는 잎들을 나열한다. 중복되는 잎이 있으면 중복된 만큼 쓴다.
줄기와 잎 그림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
- 장점은 자료의 분포 상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어. 또한 원래 자료의 값을 하나하나 볼 수 있어.
- 단점은 자료의 양이 많을 때에는 제한된 공간에 많은 값들을 나열하기 불편하다는 것이야.
참고할 점:
- 줄기는 크기가 큰 자리 수, 잎은 작은 자리 수를 의미하므로, 자리수를 잘 확인해야 해.
- 잎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게 보기 좋아.
- 자료가 너무 크거나 자리수가 다양하면 줄기를 더 크게 나누기도 해.
3️⃣ 예제 및 적용
- 키를 통해 줄기와 잎 그림을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는 줄기 에 잎 , 줄기 에 잎 으로 표시해.
- 시험 점수 를 줄기와 잎 그림으로 나타내면, 줄기는 , 잎은 각각 가 되어 점수 분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줄기와 잎 그림은 숫자를 두 부분(줄기와 잎)으로 나누어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이야.
- 줄기는 큰 자리 수, 잎은 작은 자리 수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숫자의 분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하고, 줄기와 잎을 나누어 세로선으로 구분하는 순서를 꼭 기억하자.
- 줄기와 잎 그림은 원래 자료를 잃지 않고, 자료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줘.
줄기와 잎 그림에서 줄기와 잎의 자릿수를 바꾸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실생활에서 줄기와 잎 그림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예는 무엇일까?
줄기와 잎 그림으로 표현할 때 데이터가 너무 크거나 작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줄기와 잎 그림'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줄기와 잎 그림에서 줄기와 잎의 자릿수를 바꾸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실생활에서 줄기와 잎 그림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예는 무엇일까?
줄기와 잎 그림으로 표현할 때 데이터가 너무 크거나 작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EBS 수학의 답] 줄기와 잎 그림/도수분포표 - 줄기와 잎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