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 부피'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부피는 공간 속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야.
  • 부피 단위는 보통 cm3\text{cm}^3, m3\text{m}^3 같은 세제곱 단위를 사용해.
  • (원기둥의 부피)=(밑넓이)×(높이)=πr2h\text{(원기둥의 부피)} = \text{(밑넓이)} \times \text{(높이)} = \pi r^2 h

2️⃣ 핵심 개념

구의 부피.png

  • 구를 이해할 때, 원기둥 안에 딱 맞게 들어가는 구를 생각해보자. 이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반지름은 rr이고 높이는 2r2r이야.
    • 원기둥 안의 반지름이 rr인 구의 부피는 원기둥의 부피의 일부야.
    • 일반적으로 구의 부피원기둥의 부피23\dfrac{2}{3}임이 알려져 있어.
  • 따라서 구의 부피 공식은 다음과 같아.
    V=23×(πr2×2r)=43πr3\displaystyle V = \frac{2}{3} \times \left( \pi r^2 \times 2r \right) = \frac{4}{3} \pi r^3

3️⃣ 예제 및 적용

  • 테니스 공이 원기둥 상자 안에 들어있다고 생각해보자. 상자의 부피는 테니스 공의 부피보다 큼을 알 수 있고, 상자 안에서 테니스공이 차지하는 공간의 양을 구하는 데 구의 부피 공식을 쓸 수 있어.
  • 농구공의 반지름이 6 cm6\ \text{cm}라면, 부피는 43π(6)3 cm3\dfrac{4}{3} \pi (6)^3\ \text{cm}^3으로 구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구의 부피는 원기둥 부피의 23\dfrac{2}{3}배야.
  • 반지름이 rr인 구의 부피는 43πr3\dfrac{4}{3} \pi r^3로 계산해.
  • 구를 원기둥 안에 넣어 생각하면, 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원기둥 부피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어.
  • 실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공식이라, 주변에서 모양을 찾아보고 부피를 계산해 보면 이해가 더 쉬워질 거야.

구의 부피가 원뿔의 부피와 원기둥 부피의 몇 배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실생활에서 구의 부피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구의 반지름이 두 배가 되면 부피는 어떻게 변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구의 부피'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구의 부피가 원뿔의 부피와 원기둥 부피의 몇 배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실생활에서 구의 부피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 구의 반지름이 두 배가 되면 부피는 어떻게 변할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입체도형의 부피 - 구의 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