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뿔의 겉넓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원의 반지름이 rr일 때, 원의 넓이는 πr2\pi r^2, 둘레는 2πr2\pi r야.
  • 부채꼴의 넓이는 12rl\dfrac{1}{2}rl로 구할 수 있어.
  • 모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옆면을 만드는 선분이야.

2️⃣ 핵심 개념

원뿔 겉넓이.png

  • 반지름이 rr원뿔의 겉넓이밑넓이옆넓이를 더한 값이야.
  • 밑면은 원이고, 밑넓이πr2\pi r^2로 구해.
  • 옆면은 원뿔을 옆으로 펼쳤을 때 생기는 부채꼴 모양인데, 그 넓이를 구하려면 부채꼴의 반지름과 호의 길이를 알아야 해.
    • 여기서 부채꼴의 반지름 길이는 원뿔의 모선의 길이(ll)와 같고,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길이(2πr2 \pi r)와 같아.
    • 옆넓이12×l×2πr=πrl\dfrac{1}{2} \times l \times 2 \pi r = \pi r l야.
  • 그래서 원뿔 겉넓이 공식은
    (겉넓이)=πr2+πrl=πr(r+l)\textbf{(겉넓이)} = \pi r^2 + \pi r l = \pi r (r + l)

3️⃣ 예제 및 적용

  • 반지름이 3cm3\,\text{cm}이고 모선이 4cm4\,\text{cm}인 원뿔의 겉넓이를 구해보면,
    (옆넓이)=π×3×4=12π (cm2)\text{(옆넓이)} =\pi \times 3 \times 4 = 12 \pi\ (\text{cm}^2)
    (겉넓이)=π×3×(3+4)=21π (cm2)\text{(겉넓이)} = \pi \times 3 \times (3 + 4) = 21\pi \ (\text{cm}^2)

4️⃣ 개념 정리

  • 원뿔의 겉넓이는 밑면인 원의 넓이와 옆면인 부채꼴 넓이를 더한 것이야.
  • 밑넓이 공식은 πr2\pi r^2, 옆넓이는 πrl\pi r l이야.
  • 원뿔의 겉넓이 공식πr(r+l)\pi r (r + l).
  • 원뿔의 겉넓이는 실생활에서 표면 처리나 재료 계산에 매우 유용해.
  • 부채꼴의 반지름 길이는 원뿔의 모선의 길이와 같고,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다는 것을 기억해줘.

원뿔의 옆면 길이 ll가 높이보다 큰 이유는 무엇일까?
실생활에서 원뿔 겉넓이를 활용해 볼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원뿔의 겉넓이를 구할 때 밑면과 옆면 넓이를 따로 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원뿔의 겉넓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원뿔의 옆면 길이 ll가 높이보다 큰 이유는 무엇일까?

  • 실생활에서 원뿔 겉넓이를 활용해 볼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 원뿔의 겉넓이를 구할 때 밑면과 옆면 넓이를 따로 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입체도형의 겉넓이 - 원뿔의 겉넓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