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기둥의 부피'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넓이 단위와 부피 단위: 넓이는 cm2\text{cm}^2, 부피는 cm3\text{cm}^3 단위를 사용해. 단위가 다르다는 걸 알고 있어야 해.

2️⃣ 핵심 개념

각기둥의 부피(쪼개어진 사각기둥).png

  • 직육면체를 두 개의 삼각기둥으로 나누었을 때, 한 삼각기둥의 부피는 직육면체의 부피의 12\dfrac{1}{2}이고 한 삼각기둥의 밑넓이는 직육면체의 밑넓이의 12\dfrac{1}{2}이야.
  • 즉,
    (삼각기둥의 부피)=12×(직육면체의 부피)=12×(직육면체의 밑넓이)×(높이)=(삼각기둥의 밑넓이)×(높이)\begin{aligned} \textbf{(삼각기둥의 부피)} &= \frac{1}{2} \times \textbf{(직육면체의 부피)}\\ &= \frac{1}{2} \times \textbf{(직육면체의 밑넓이)} \times \textbf{(높이)}\\ &= \textbf{(삼각기둥의 밑넓이)} \times \textbf{(높이)} \end{aligned}
    으로 삼각기둥의 부피를 구할 수 있어.

각기둥의 부피(쪼개어진 오각기둥).png

  • 사각기둥, 오각기둥, … 과 같이 여러 각기둥은 여러 삼각기둥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각기둥의 부피삼각기둥의 부피의 합으로 구할 수 있어.
  • 즉,
    (각기둥의 부피)=(밑넓이)×(높이)\textbf{(각기둥의 부피)} = \textbf{(밑넓이)} \times \textbf{(높이)}
    로 구할 수 있어.
  • 부피는 도형 안에 들어가는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단위가 cm3\text{cm}^3로 표현돼.

3️⃣ 예제 및 적용

  • 물을 담는 수조가 각기둥 모양이라면, 수조의 밑면 넓이와 높이를 곱해서 물이 최대 몇 리터 들어가는지 부피를 구할 수 있어.
  • 삼각형 밑면의 넓이가 20 cm220\ \text{cm}^2이고 높이가 15 cm15\ \text{cm}인 삼각기둥의 부피는 20×15=300 (cm3)20 \times 15 = 300\ (\text{cm}^3)야.

4️⃣ 개념 정리

  • 여러 각기둥의 부피는 여러 삼각기둥의 부피의 합으로 구할 수 있어.
  • 각기둥의 부피밑넓이높이를 곱해서 구해.
  • 부피는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고 단위는 cm3\text{cm}^3 같은 33차원 단위야.
  • 밑면의 모양이 무엇이든, 밑넓이를 먼저 구하고 높이와 곱하는 방법은 변하지 않아.
  • 실생활에서 상자, 수조 등 부피를 구할 때 꼭 필요한 개념이니까 꼭 기억해!

각기둥의 밑면 넓이가 같을 때, 높이가 두 배가 되면 부피는 어떻게 변할까?
실생활에서 각기둥의 부피를 알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음료수 상자의 부피를 줄이려면 밑면 넓이와 높이 중 어떤 값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각기둥의 부피'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각기둥의 밑면 넓이가 같을 때, 높이가 두 배가 되면 부피는 어떻게 변할까?

  • 실생활에서 각기둥의 부피를 알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 음료수 상자의 부피를 줄이려면 밑면 넓이와 높이 중 어떤 값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입체도형의 부피 - 기둥의 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