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기둥의 겉넓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원의 넓이: 반지름이 rr인 원의 넓이는 πr2\pi r^2야.
  • 원의 둘레: 반지름이 rr인 원의 둘레는 2πr2 \pi r야.
  • 직사각형 넓이: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aa, bb인 직사각형의 넓이는 a×ba \times b야.

2️⃣ 핵심 개념

원기둥의 겉넓이.png

원기둥의 겉넓이원기둥의 밑넓이옆넓이를 모두 더한 거야.

  • 원기둥의 밑면은 반지름이 rr인 원이 두 개 있으니까, 밑넓이2×πr22 \times \pi r^2가 돼.
  • 옆면은 원기둥을 잘라 펼쳤을 때 직사각형 모양이 돼.
    • 이 직사각형의 가로 길이는 밑면의 원의 둘레 2πr2 \pi r이고
    • 세로 길이는 원기둥 높이 hh야.
    • 그래서 옆넓이2πr×h2 \pi r \times h가 돼.
  • 따라서 원기둥의 겉넓이 SS
    S=2πr2+2πrh=2πr(r+h)\text{S} = 2 \pi r^2 + 2 \pi r h = 2 \pi r (r + h)
    가 돼.

3️⃣ 예제 및 적용

  • 반지름이 3cm3\, \text{cm}, 높이가 5cm5\,\text{cm}인 원기둥의 겉넓이는
    2π×3×(3+5)=2π×3×8=48πcm22 \pi \times 3 \times (3 + 5) = 2 \pi \times 3 \times 8 = 48 \pi\, \text{cm}^2야.
  • 원기둥의 반지름을 두 배로 늘리면 겉넓이가 어떻게 변하는지 비교해 볼 수 있어.

4️⃣ 개념 정리

  • 원기둥의 겉넓이는 원 두 개의 넓이와 옆면 직사각형 넓이의 합이야.
  • 원 넓이와 둘레를 잘 기억하고, 옆면을 직사각형으로 생각하는 게 중요해.
  • 원기둥의 겉넓이 공식: S=2πr(r+h)S = 2 \pi r (r + h)
  • 실생활에서 원기둥 모양 물건의 겉면 크기를 구할 때 꼭 써먹어봐!

원기둥 높이가 변할 때 겉넓이는 어떻게 변할까?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이 변할 때 겉넓이는 어떻게 변할까?
원기둥의 겉넓이를 이용해 실생활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원기둥의 겉넓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원기둥 높이가 변할 때 겉넓이는 어떻게 변할까?

  •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이 변할 때 겉넓이는 어떻게 변할까?

  • 원기둥의 겉넓이를 이용해 실생활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입체도형의 겉넓이 - 원기둥의 겉넓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