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체의 성질'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회전체: 평면 도형을 회전축으로 하여 11회전 시켜서 생기는 입체도형을 말해.
  • 단면: 입체도형을 어떤 면으로 자르면 생기는 평면 모양을 말해.
  • 선대칭도형: 대칭축을 따라 접었을 때 완전히 겹치는 도형을 말해.

2️⃣ 핵심 개념

  • 회전체의 성질
  1.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모양은 항상 이다.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png

  1. 회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모두 합동이고, 각 단면은 회전축을 대칭축으로 하는 선대칭도형이다.
    특히, 원기둥은 직사각형, 원뿔은 이등변삼각형, 원뿔대는 사다리꼴, 구는 원이 나타난다.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png


3️⃣ 예제 및 적용

  • 김밥 한 줄을 자를 때는 회전축에 수직으로 잘라. 따라서 그 결과는 원임을 추측할 수 있어.
  • 사과는 어느 방향으로 잘라도 항상 원임을 알 수 있어. 따라서 구의 단면은 항상 원이야.

4️⃣ 개념 정리

  •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모양은 항상 이야.
  • 회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모두 합동이고, 각 단면은 회전축을 대칭축으로 하는 선대칭도형이야.
  • 회전체의 성질을 이해하려면 평면도형과 회전 축, 단면 모양을 항상 머릿속에 그려 보면서 생각해 봐.

회전체의 축이 바뀌면 입체 모양과 단면은 어떻게 달라질까?
구의 단면의 넓이가 가장 넓으려면 어떻게 잘라야 할까?
실생활에서 회전체의 대칭성을 이용한 물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회전체의 성질'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회전체의 축이 바뀌면 입체 모양과 단면은 어떻게 달라질까?

  • 구의 단면의 넓이가 가장 넓으려면 어떻게 잘라야 할까?

  • 실생활에서 회전체의 대칭성을 이용한 물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favicon[중1] 5-9 회전체의 정의와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