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체
'다면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면: 선분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말해.
- 모서리: 두 면이 만나는 선분을 말해.
- 꼭짓점: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부분을 의미해.
- 각기둥: 두 면이 평행하고 합동인 입체도형이야.
- 각뿔: 바닥에 놓인 면이 다각형이고, 나머지 모든 면이 삼각형이면서 한 점에서 만나는 입체도형이야.
2️⃣ 핵심 개념
다면체 각기둥, 각뿔처럼 다각형인 면으로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말해.
다면체는 면, 모서리, 꼭짓점으로 이루어져 있어.
-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 모서리: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의 변
- 꼭짓점: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의 꼭짓점
면의 개수에 따라 다면체의 이름이 달라져.
- 사면체: 면의 개수가 4개인 다면체. (삼각형 면 4개)
- 육면체: 면의 개수가 6개인 다면체. (사각형 면 6개)
- 팔면체: 면의 개수가 8개인 다면체. (삼각형 면 8개)
- 십이면체: 면의 개수가 12개인 다면체. (오각형 면 12개)
- 이십면체: 면의 개수가 20개인 다면체. (삼각형 면 20개)
같은 다면체라도 기준에 따라 이름이 다르게 불릴 수도 있어. 예를들어, 삼각뿔은 사면체이기도 해.
3️⃣ 예제 및 적용
- 주사위: 정육면체로 6개의 정사각형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 피라미드: 삼각뿔 모양으로 4개의 삼각형 면이 있어.
- 정육면체는 면이 6개, 모서리가 12개, 꼭짓점이 8개야.
- 삼각뿔은 면이 4개, 모서리가 6개, 꼭짓점이 4개야.
4️⃣ 개념 정리
- 다면체는 여러 개의 평면(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도형이야.
- 다면체는 면, 모서리, 꼭짓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면의 개수에 따라 이름과 모양이 달라져.
- 삼각뿔, 정육면체 같은 다면체는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어.
- 다면체를 이해하려면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해.
다면체에서 면의 개수가 변하면 꼭짓점과 모서리의 개수도 어떻게 달라질까?
일상에서 다면체의 모서리와 꼭짓점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다면체의 모서리 길이가 모두 같다면 어떤 특징이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다면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다면체에서 면의 개수가 변하면 꼭짓점과 모서리의 개수도 어떻게 달라질까?
일상에서 다면체의 모서리와 꼭짓점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다면체의 모서리 길이가 모두 같다면 어떤 특징이 있을까?
[중1] 5-7 다면체의 정의와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