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 한 점(원의 중심)에서 일정한 거리(반지름의 길이)만큼 떨어진 점들이 이루는 도형.
  • 반지름: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한 점을 잇는 선분.
  • : 원 위의 두 점을 잇는 원의 일부.
  • :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선분.

2️⃣ 핵심 개념

원 부채꼴, 활꼴.png

  • 부채꼴은 원에서 두 반지름과 호로 이루어진 도형이야.
    • 예를 들어, 원 O\text{O}에서 두 반지름 OA\text{OA}, OB\text{OB}가 있을 때, 이 두 반지름과 그 사이의 호 AB\text{AB}로 만들어지는 도형을 부채꼴 AOB\text{AOB}라고 해.
  • 여기서 AOB\angle \text{AOB}를 부채꼴 AOB\text{AOB}중심각이라고 하고, 호 AB\text{AB}AOB\angle \text{AOB}에 대한 라고 해.
  • 원 위 두 점 C\text{C}, D\text{D}를 잇는 호 CD\text{CD}와 그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분 CD\text{CD}가 있을 때, 이 호와 현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활꼴이라고 해.
  • 특히, 현이 원의 지름이 될 때만 부채꼴과 활꼴이 서로 같아져.

3️⃣ 예제 및 적용

  • 피자 전체를 원이라고 하고, 피자를 중심에서 여러 조각으로 나눌 때, 각 조각은 부채꼴 모양이야. 피자의 중심이 원의 중심이고, 피자 조각의 양쪽 경계선이 반지름 역할을 해.
  • 시계에서 시침과 분침이 만드는 각과 그 사이의 원 부분도 부채꼴로 생각할 수 있어. 중심은 시계의 중심, 두 바늘 끝은 A\text{A}, B\text{B}, 그 사이의 원 부분이 호 AB\text{AB}야.

4️⃣ 개념 정리

  • 부채꼴은 원에서 중심각과 두 반지름,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호로 이루어진 도형이야.
  • 중심각은 원의 중심에서 두 반지름이 이루는 각이고, 이 각에 대응하는 호가 부채꼴의 경계 중 하나야.
  • 활꼴은 원 위 두 점을 연결하는 호와 그 두 점을 직선으로 잇는 현으로 둘러싸인 도형이야.
  • 공부할 때는 중심각과 호, 반지름의 관계를 잘 이해하는 게 중요해.

부채꼴의 중심각이 클수록 부채꼴의 넓이와 호의 길이는 어떻게 변할까?
일상에서 부채꼴을 찾을 수 있을까?
활꼴과 부채꼴은 어떤 점에서 다르고 어떤 점에서 비슷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부채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부채꼴의 중심각이 클수록 부채꼴의 넓이와 호의 길이는 어떻게 변할까?

  • 일상에서 부채꼴을 찾을 수 있을까?

  • 활꼴과 부채꼴은 어떤 점에서 다르고 어떤 점에서 비슷할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원과 부채꼴 - 원(호, 현, 활꼴, 부채꼴, 중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