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각형의 대각선 개수
'다각형의 대각선 개수'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다각형: 세 개 이상의 선분이 만드는 도형이고, 각각의 선분은 변, 만나는 점은 꼭짓점이야.
- 대각선: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는 두 꼭짓점을 이은 선분이야.
2️⃣ 핵심 개념
-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를 구해보자.
- 한 꼭짓점에서 다른 꼭짓점으로 선을 그을 때, 바로 옆에 있는 두 꼭짓점은 변이기 때문에 대각선이 아니야.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는 선을 그을 수 없지. 그래서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을 수 있는 개수는
n개 (전체 꼭짓점 개수) - 개 (자기 자신) - 개 (바로 옆에 있는 두 꼭짓점), 즉
가 돼.
- 다각형의 모든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으면, 꼭짓점 수 에 을 곱해
이지만 이 방법은 각 대각선을 두 번씩 세는 거야 (예를 들어, 꼭짓점 A에서 B로, 꼭짓점 B에서 A로 같은 대각선). 그래서 로 나누면
공식이 완성돼.
3️⃣ 예제 및 적용
- 예를 들어, 오각형을 생각해 보자.
오각형의 꼭짓점 수는 5개이므로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은 개야.
전체 대각선 개수는
그래서 오각형에는 총 개의 대각선이 있어.
4️⃣ 개념 정리
- 대각선은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는 두 꼭짓점을 이은 선분이야.
- 꼭짓점 개수가 늘어날수록 대각선 개수는 훨씬 많이 증가해.
- 공식은 꼭짓점 개수와 대각선의 관계를 쉽게 알려줘서 복잡한 도형도 빠르게 계산할 수 있어
학습 팁!
꼭짓점과 변, 대각선의 차이를 잘 구분하고, 작은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으로 직접 그려보면서 공식이 왜 맞는지 확인해 보면 좋아. 😊
다각형 꼭짓점이 많아질수록 대각선 개수는 어떻게 변할까?
실생활에서 다각형의 대각선 개수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는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다각형의 대각선 개수'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다각형 꼭짓점이 많아질수록 대각선 개수는 어떻게 변할까?
실생활에서 다각형의 대각선 개수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는 무엇일까?
[EBS 수학의 답] 다각형 - 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의 대각선의 개수
[EBS 수학의 답] 다각형 - 다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