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교, 수선의 발
'직교, 수선의 발'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선분을 양쪽으로 끝없이 늘인 곧은 선을 직선이라 하고 평행하지 않은 서로 다른 두 직선 사이에 생기는 도형을 각이라고 해.
- 두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이 직각일 때 수직이라 하고, 이때 한 직선을 다른 직선의 수선이라고 해.
2️⃣ 핵심 개념
- 직교란?
: 두 직선의 교각이 직각일 때를 말해. 즉,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고 한 직선을 다른 직선의 수선이라 말해.
기호로는 와 같이 표현해.
- 수선의 발이란?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 에서 직선 에 수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교점 를 점 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이라고 해. - 특징:
- 선분 는 점 에서 직선 까지 잇는 선분 중 가장 거리가 짧아.
- 선분 의 길이를 점 와 직선 의 거리라고 해.
3️⃣ 예제 및 적용
- 책상 위에 연필이 직교하게 세웠을 때, 연필과 책상면이 만드는 각은 직각이돼.
4️⃣ 개념 정리
- 직교는 두 직선이 만날 때 인 상태야.
- 수선의 발은 점에서 직선으로 내린 수직선이 직선과 만나는 점을 말해.
- 점에서 직선까지의 거리를 구할 때 꼭 기억해야 할 개념이지.
- 학습 팁: 직교와 수선의 발은 도형 문제에서 자주 등장하니까, 그림을 그려보면서 이해하면 좋아! 😊
점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은 왜 가장 가까운 점일까?
우리 주변에서 직교 관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물건은 무엇일까?
수선의 발을 이용해 점과 직선 사이 거리를 어떻게 구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직교, 수선의 발'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점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은 왜 가장 가까운 점일까?
우리 주변에서 직교 관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물건은 무엇일까?
수선의 발을 이용해 점과 직선 사이 거리를 어떻게 구할까?
[EBS 수학의 답] 점, 선, 면, 각 - 수직, 수선의 발, 수직이등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