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 크기나 모양이 없는 아주 작은 위치야.
  • 반직선: 한 점에서 시작해서 다른 한 점으로 끝없이 뻗어 나가는 직선을 말해.
  • 예각: 크기가 00^\circ보다 크고 9090^\circ보다 작은 각을 말해.
  • 직각: 크기가 9090^\circ인 각을 말해.
  • 둔각: 크기가 9090^\circ보다 크고 180180^\circ보다 작은 각을 말해.

2️⃣ 핵심 개념

  • 각(\angle)은 한 점에서 시작하는 두 반직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이야.
  • 예를 들어, 점 A\text{A}, 점 O\text{O}, 점 B\text{B}가 있을 때, AOB\angle \text{AOB}는 점 O\text{O}를 꼭짓점으로 하고, 두 반직선 OA\text{OA}OB\text{OB}가 이루는 각이야.
  • AOB=BOA=O=α\angle \text{AOB} = \angle \text{BOA} = \angle \text{O} = \angle \alpha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어. AOB\angle \text{AOB}는 보통 크기가 작은 쪽의 각을 말해.
  • 이때 AOB\angle \text{AOB}에서 점 O\text{O}를 각의 꼭짓점, 반직선 OA\text{OA}와 반직선 OB\text{OB}를 각의 변이라고 말해.

개념 1. 예각.png

  • 반직선 OA\text{OA}가 점 O\text{O}를 중심으로 반직선 OB\text{OB}까지 회전한 양을 AOB\angle \text{AOB}의 크기라고 하고 각의 크기의 단위는 도(^\circ)를 사용해.
  • AOB\angle \text{AOB}는 도형으로서의 각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각의 크기를 나타낼 때도 사용해.

개념 2. 평각.png

  • 평각은 각의 크기가 180180^\circ인 각으로, 반직선 OA\text{OA}가 점 O\text{O}를 중심으로 반직선 OB\text{OB}까지 회전하여 두 점 A\text{A}, B\text{B}가 한 직선 상에 존재하게 되었을 때를 말해.
  • 평각의 크기는 직각의 크기의 22배야.

3️⃣ 예제 및 적용

  • 다리 찢기를 하여 두 다리가 하나의 선분이 되었을 때, 두 다리사이 각을 평각이라 이야기할 수 있어.
  • 시계의 중심을 점 O\text{O}, 시침과 분침 위의 한 점을 각각 점 A\text{A}, 점 B\text{B}라 한다면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 작은 쪽의 각을 AOB\angle \text{AOB}로 표현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은 한 점에서 시작하는 두 반직선이 이루는 도형이며, 꼭짓점과 두 변으로 구성돼.
  • 각의 크기는 각의 한 변이 다른 변까지 회전한 양을 뜻해.
  • 평각직각은 각각 각의 크기가 180180^\circ, 9090^\circ일 때를 말해.
  • 일상생활에서 각을 찾아보면 이해가 더 쉬워!

각의 크기는 왜 작은쪽을 생각해야 할까요?
일상에서 평각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물건은 무엇일까요?
시계 바늘이 이루는 각은 시간이 지날수록 어떻게 변할까요?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각'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각의 크기는 왜 작은쪽을 생각해야 할까요?

  • 일상에서 평각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물건은 무엇일까요?

  • 시계 바늘이 이루는 각은 시간이 지날수록 어떻게 변할까요?

  • favicon[EBS 수학의 답] 점, 선, 면, 각 - 평각과 직각을 이용한 각의 크기 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