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방정식'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일차식은 가장 높은 차수가 11인 다항식을 말해.
  •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말해.
  • 양변에 같은 수를 더하거나 빼는 법칙: 방정식을 풀 때 양쪽에 같은 수를 더하거나 빼도 등식이 성립해.
  • 곱셈과 나눗셈의 성질: 양변을 같은 수로 나누거나 곱해도 등식은 유지돼(단, 00으로 나누면 안 돼).

2️⃣ 핵심 개념

  • 이항이란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한쪽에 있는 항들을 다른 쪽으로 옮길 때 부호를 바꾸어 이동시키는 것을 말해.
    예를 들어,
    2x+3=72x=732x + 3 = 7 \quad \Rightarrow \quad 2x = 7 - 3
    여기서 +3+33-3이 되어 우변으로 이항한 거야.
  • 방정식의 우변에 있는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한 식이
    (xx에 대한 일차식 =0= 0, 즉 ax+b=0ax + b = 0 (a0a \neq 0)
    꼴로 나타나는 방정식을 xx에 대한 일차방정식이라 해.
  • 일차방정식 판별법:
    1. 방정식에서 우변의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해 봐.
    2. 이때 좌변이 xx에 대한 일차식이고, 우변이 00인 형태로 나타나야 해. 즉,
      ax+b=0(a0)ax + b = 0 \quad (a \neq 0)
    3. 만약 이항 후에 xx가 모두 사라져 버리면 그 방정식은 일차방정식이 아니야. 예를 들어,
      2x+3=2x+52x+32x5=02=02x + 3 = 2x + 5 \quad \Rightarrow \quad 2x + 3 - 2x - 5 = 0 \\ \Rightarrow \quad -2 = 0
      와 같은 식처럼 말이지.

3️⃣ 예제 및 적용

  • 친구와 피자를 나누어 먹을 때, 한 사람이 몇 조각을 먹었는지 모를 때를 생각해 보자. 피자 조각이 총 88조각이고, 친구가 xx조각 먹었으며, 남은 피자가 55조각이라면,
    x+5=8x + 5 = 8
    이 식은 xx에 대한 일차방정식이야. 이 방정식을 풀면 친구가 몇 조각 먹었는지 알 수 있지!
  • 3x4=113x - 4 = 11
    3x411=3x15=03x - 4 - 11 = 3x - 15 = 0으로 이 식도 일차방정식이야.
    위 식에 44를 더한 후 33으로 나누면 x=5x = 5가 되어 일차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방정식의 한쪽에 있는 모든 항을 다른 쪽으로 옮기는 것을 '이항'이라고 해.
  • 이항 후 ax+b=0ax + b = 0, (a0a \neq 0) 형태가 되면 일차방정식이야.
  • xx가 사라지면 일차방정식이 아니야.
  • 양변에 같은 수를 더하거나 빼고, 곱하거나 나누어 방정식을 풀어.
  • 문제를 풀 때는 항상 등식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 😊

일차방정식에서 이항을 하면 어떤 점이 더 편해질까?
일차방정식은 왜 ax+b=0ax + b = 0 꼴이 중요한 걸까?
일차방정식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일차방정식'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일차방정식에서 이항을 하면 어떤 점이 더 편해질까?

  • 일차방정식은 왜 ax+b=0ax + b = 0 꼴이 중요한 걸까?

  • 일차방정식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방정식과 그 해 - 이항이란?

  • favicon[EBS 수학의 답] 일차방정식 - 일차방정식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