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정식
'방정식'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등호(): 두 식이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야.
예를 들어, 은 두 숫자가 같다는 뜻이지.
2️⃣ 핵심 개념
-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말해.
- 미지수는 방정식에서 우리가 모르는 숫자를 문자로 나타낸 것을 말해.
예를 들어, 에서 가 미지수야. - 방정식의 해(근)는 미지수에 어떤 숫자를 넣었을 때 등식이 참이 되는 그 숫자를 말해.
예를 들어, 에서 는 방정식의 해야. - 방정식을 푼다는 말은 바로 이 미지수의 값을 찾아내는 과정을 의미해.
- 항등식은 어떤 숫자를 넣어도 항상 참이 되는 등식이야.
예를 들어, 는 에 어떤 값을 넣어도 항상 참이 되지.
3️⃣ 예제 및 적용
- 너가 처음 돈을 원 가지고 있었는데 친구에게 원을 빌렸어. 그래서 돈이 원이 됐어. 이때 방정식은
으로 세울 수 있고, 여기서 를 구하면 네가 처음에 가진 돈이 나오지! - 다음 방정식이 를 해로 가지는지 판단해보자.
를 해로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입하여 알 수 있어.
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아. 따라서 를 해로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어.
또 다음 방정식은 로 등식이 성립해. 따라서 -2를 해로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어.
4️⃣ 개념 정리
-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말해.
- 미지수는 방정식에서 우리가 모르는 숫자를 문자로 나타낸 것을 말해.
- 방정식의 해(근)는 등식이 참이 되는 그 숫자를 말해.
- 방정식을 푼다는 말은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을 의미해.
- 항등식은 어떤 숫자를 넣어도 항상 참이 되는 등식이야.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
방정식의 해가 여러 개일 수도 있을까?
일상생활에서 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항등식과 방정식은 어떻게 다를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방정식'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방정식의 해가 여러 개일 수도 있을까?
일상생활에서 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항등식과 방정식은 어떻게 다를까?
[EBS 수학의 답] 방정식과 그 해 - 방정식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