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정식'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등호(==): 두 식이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야.
    예를 들어, 3+4=73 + 4 = 7은 두 숫자가 같다는 뜻이지.

2️⃣ 핵심 개념

  •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말해.
  • 미지수는 방정식에서 우리가 모르는 숫자를 문자로 나타낸 것을 말해.
    예를 들어, x+3=7x + 3 = 7에서 xx가 미지수야.
  • 방정식의 해(근)는 미지수에 어떤 숫자를 넣었을 때 등식이 참이 되는 그 숫자를 말해.
    예를 들어, x+3=7x + 3 = 7에서 x=4x = 4는 방정식의 해야.
  • 방정식을 푼다는 말은 바로 이 미지수의 값을 찾아내는 과정을 의미해.
  • 항등식은 어떤 숫자를 넣어도 항상 참이 되는 등식이야.
    예를 들어, x+3x=4xx + 3x = 4xxx에 어떤 값을 넣어도 항상 참이 되지.

3️⃣ 예제 및 적용

  • 너가 처음 돈을 xx원 가지고 있었는데 친구에게 3,0003,000원을 빌렸어. 그래서 돈이 10,00010,000원이 됐어. 이때 방정식은
    x+3000=10000x + 3000 = 10000
    으로 세울 수 있고, 여기서 xx를 구하면 네가 처음에 가진 돈이 나오지!
  • 다음 방정식이 x=2x = - 2를 해로 가지는지 판단해보자.
    2x5=9,x+7=52x - 5 = 9, x + 7 = 5
    x=2x = - 2를 해로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입하여 알 수 있어.
    2×(2)592 \times (-2) - 5 \neq -9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아. 따라서 2-2를 해로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어.
    또 다음 방정식은 (2)+7=5(-2) + 7 = 5로 등식이 성립해. 따라서 -2를 해로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어.

4️⃣ 개념 정리

  •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말해.
  • 미지수는 방정식에서 우리가 모르는 숫자를 문자로 나타낸 것을 말해.
  • 방정식의 해(근)는 등식이 참이 되는 그 숫자를 말해.
  • 방정식을 푼다는 말은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을 의미해.
  • 항등식은 어떤 숫자를 넣어도 항상 참이 되는 등식이야.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


방정식의 해가 여러 개일 수도 있을까?
일상생활에서 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항등식과 방정식은 어떻게 다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방정식'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방정식의 해가 여러 개일 수도 있을까?

  • 일상생활에서 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항등식과 방정식은 어떻게 다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방정식과 그 해 - 방정식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