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식의 덧셈과 뺄셈'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일차식은 가장 높은 차수가 11인 다항식을 말해.
  • 문자는 아직 모르는 수를 대신하는 기호야.
  • 계수는 문자의 앞에 붙은 숫자야.
  • 동류항은 같은 문자와 차수를 가진 항끼리야.

2️⃣ 핵심 개념

  •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은 같은 종류의 항, 즉 동류항끼리만 더하거나 빼는 것이야. 예를 들어,
    (3x+5)+(2x1)=(3x+2x)+(51)=5x+4(3x + 5) + (2x - 1) = (3x + 2x) + (5 - 1) \\ = 5x + 4
    이렇게 문자가 같은 항끼리 더하고, 숫자끼리 더하는 거지. 뺄셈도 마찬가지야.
    (4x+7)(x+3)=4x+7x3=(4xx)+(73)=3x+4(4x + 7) - (x + 3) = 4x + 7 - x - 3 \\ = (4x - x) + (7 - 3) = 3x + 4
    여기서 중요한 점은 항들의 부호(++)와 (-)를 정확히 확인하고 계산하는 것이야.

3️⃣ 예제 및 적용

  • 친구들이 각각 사탕을 가지고 있다고 해보자.

    • 친구 A가 (3x+1)(3x + 1)개의 사탕을 가지고 있고,
    • 친구 B가 (5x+2)(5x + 2)개의 사탕을 가지고 있어.
      둘이 사탕을 합치면 (3x+1)+(5x+2)=(3x+5x)+(1+2)=8x+3(3x + 1) + (5x + 2) = (3x + 5x) + (1 + 2) = 8x + 3개의 사탕이 되는 거야.
  • 또, 만약

    • 친구 A가 (7x+2)(7x + 2)개의 사탕을 가지고 있는데
    • 친구 B에게 (2x3)(2x - 3)개를 준다면
      남은 사탕은 7x+2(2x3)=7x+22x+3=(7x2x)+(2+3)=5x+57x + 2 - (2x - 3) = 7x + 2 - 2x + 3= (7x - 2x) + (2 + 3) = 5x + 5개가 되는 거지.

4️⃣ 개념 정리

  • 일차식동류항끼리만 더하거나 뺄 수 있어.
  • 덧셈과 뺄셈은 항의 부호를 주의해서 계산하는 것이 중요해.
  • 실제 생활에서는 같은 종류의 양을 합치거나 나눌 때 일차식 덧셈과 뺄셈을 활용할 수 있어.
  • 학습 팁으로는, 항상 동류항인지 확인하고, 부호를 꼼꼼히 적어가면서 계산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아! 😊

일차식 덧셈과 뺄셈을 이용해 친구들과 물건을 나누는 상황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왜 일차식 덧셈과 뺄셈에서 동류항끼리만 계산해야 할까?
일차식 덧셈과 뺄셈을 통해 우리가 일상에서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일차식 덧셈과 뺄셈을 이용해 친구들과 물건을 나누는 상황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 왜 일차식 덧셈과 뺄셈에서 동류항끼리만 계산해야 할까?

  • 일차식 덧셈과 뺄셈을 통해 우리가 일상에서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일차식과 그 계산 -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1)

  • favicon[EBS 수학의 답] 일차식과 그 계산 -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