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 기호와 나눗셈 기호의 생략

'곱셈 기호와 나눗셈 기호의 생략'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곱셈은 같은 수를 여러 번 더하는 것을 간단히 표현하는 방법이고,
  • 나눗셈은 하나의 수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해.

2️⃣ 핵심 개념

  • 곱셈 기호 생략
    • 수학에서는 숫자나 문자 사이에 곱셈 기호(×\times)를 쓰지 않아도 곱셈으로 이해해. 이때 수를 문자 앞에 써.
      예) 2×x2 \times x 대신 2x2x라고 쓰는 것처럼 말이야.
    • 숫자와 괄호 사이, 문자와 괄호 사이에도 곱셈 기호를 생략할 수 있어. 이때 곱해지는 숫자를 괄호 앞에 써.
      예) 3×(x+1)=3(x+1)3 \times (x + 1) = 3(x + 1)
    • 같은 문자의 곱에서도 거듭제곱의 방법으로 곱셈 기호를 생략할 수 있어. 또한 다른 문자끼리의 곱은 보통 알파벳 순서로 써.
      예) x×x×x=x3x \times x \times x = x^3, a×b=aba × b = ab
  • 나눗셈 기호 생략
    • 나눗셈 기호(÷\div) 대신 분수 형태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예) a÷ba \div b 대신에 ab\dfrac{a}{b} 라고 쓰는 거지. 단 b0b ≠ 0이야.

3️⃣ 예제 및 적용

  • 피자를 44명이 나누면 한 사람당 피자의 양은 전체피자÷4전체 피자 \div 4로 표현할 수 있어. 이를 분수로 표현하면 피자4\dfrac{\text{피자}}{4}라고 쓰지.
  • 사과 한 개 가격이 500500원이고 33개를 산다면 가격은 500×3=1500500 \times 3 = 1500원이지만, 수학에서는 50035003이라고 쓰지 않고 500×3=1500500 \times 3 = 1500 또는 5003=1500500 \cdot 3 = 1500이라고 써.
  • 그런데 만약 문자와 함께 쓸 때는 곱셈 기호를 생략해서 3a3a라고 써. (이때 aa는 사과 한 개 가격을 나타내.)

4️⃣ 개념 정리

  • 곱셈 기호는 숫자와 문자, 숫자와 괄호, 문자와 괄호, 문자와 문자 사이에서 생략할 수 있어.
  • 나눗셈 기호는 분수 형태로 바꿔 쓰는 것이 일반적이야.
  • 이렇게 기호를 생략하면 식이 더 간단해지고, 수학식을 읽고 쓰기 편해져.
  • 기호가 생략되어도 계산 순서와 의미를 헷갈리지 않는 것이 중요해!
  • 필요할 때마다 식을 깔끔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생각하면 좋아! 😊

곱셈 기호를 생략하면 식이 어떻게 더 간단해질까?
왜 수학에서는 곱셈 기호와 나눗셈 기호를 자주 생략할까?
실생활에서 곱셈 기호 생략이 어떻게 쓰이는지 예를 들어볼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곱셈 기호와 나눗셈 기호의 생략'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곱셈 기호를 생략하면 식이 어떻게 더 간단해질까?

  • 왜 수학에서는 곱셈 기호와 나눗셈 기호를 자주 생략할까?

  • 실생활에서 곱셈 기호 생략이 어떻게 쓰이는지 예를 들어볼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문자의 사용 - 나눗셈 기호의 생략

  • favicon[EBS 수학의 답] 문자의 사용 - 곱셈 기호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