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수의 혼합 계산'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유리수의 혼합 계산을 이해하려면 먼저 알아야 할 몇 가지 개념이 있어.

  • 유리수는 분수나 소수처럼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수야. 예를 들어, 34\frac{3}{4}, 2-2, 0.50.5 등이 있어.
  • 사칙연산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말해.
  • 거듭제곱은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하는 것을 의미해. 예를 들어, 32=3×3=93^2 = 3 \times 3 = 9야.
  • 수학에서 괄호는 계산 순서를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가 있는데, 안쪽 괄호부터 계산해.

2️⃣ 핵심 개념

  • 유리수의 혼합 계산은 여러 가지 연산이 섞여 있을 때 계산하는 것을 말해. 예를 들어, 거듭제곱, 곱셈, 나눗셈, 덧셈, 뺄셈이 모두 한 식 안에 있을 때야.
  •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지켜야 해:
    1. 거듭제곱 계산
    2. 괄호 안 계산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순서로)
    3. 곱셈과 나눗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4. 덧셈과 뺄셈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예시 1: 거듭제곱, 곱셈, 나눗셈 혼합 계산
    23×3÷6=?2^3 \times 3 \div 6 = ?
    계산 순서대로 하면,
    거듭제곱 계산: 23=82^3 = 8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곱셈 계산: 8×3=248 \times 3 = 24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눗셈 계산: 24÷6=424 \div 6 = 4
    답은 44야.
  • 예시 2: 괄호와 모든 연산이 섞인 계산
    [2+{3×(426)}]÷5[ 2 + \left\{ 3 \times (4^2 - 6)\right \}] \div 5
    계산 순서:
    거듭제곱 계산: 42=164^2 = 16
    → 소괄호 계산: 166=1016 - 6 = 10
    → 중괄호 계산: 3×10=303 \times 10 = 30
    → 대괄호 계산: 2+30=322 + 30 = 32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눗셈 계산: 32÷5=325=6.432 \div 5 = \dfrac{32}{5} = 6.4
    답은 6.46.4야.

3️⃣ 예제 및 적용

  • 실생활 예를 들어볼게.
    너가 동생이랑 가위바위보를 하려고 해. 이기면 +2+2점을, 지면 1-1점을 얻는다고 하자. 동생이 33점을 먼저 얻고 시작하고 너가 77번을 이길 때 동생의 점수를 알고싶은 경우에 유리수의 혼합 계산이 필요해. (이때 비기는 경우는 없다고 하자.)

    예를 들어,
    [(3×2)+{7×(1)}]+3[(3 \times 2) + \left\{7 \times (-1) \right\}] + 3

    • 먼저 너가 77번을 이기고 33번을 졌다면 동생은 33번을 이기고 77번을 진 것이 돼.
      → 동생은 소괄호를 계산하여 66, 중괄호를 계산하여 7-7이 돼.
      → 대괄호 안의 계산 값은 676 - 71-1이 나와.
      → 마지막으로 1+3-1 + 3을 계산하면 얻은 점수는 22가 돼.

4️⃣ 개념 정리

  • 유리수의 혼합 계산은 여러 연산이 섞여 있을 때 정확한 순서대로 계산하는 것이 중요해!
  • 거듭제곱부터 계산하고, 괄호 안 계산 → 곱셈과 나눗셈 → 덧셈과 뺄셈 순으로 해야 해.
  • 괄호는 여러 겹일 수 있는데, 안쪽 괄호부터 차근차근 풀어가야 헷갈리지 않아.
  • 연습할 때는 항상 괄호 위치와 연산 순서를 잘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아!
  • 복잡해 보여도 한 단계씩 차근차근 풀면 문제없어 😊
유리수 혼합 계산에서 괄호가 왜 중요한가요?
거듭제곱과 곱셈, 나눗셈이 섞인 계산을 쉽게 하는 방법은?
유리수 혼합 계산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유리수의 혼합 계산'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유리수 혼합 계산에서 괄호가 왜 중요한가요?

  • 거듭제곱과 곱셈, 나눗셈이 섞인 계산을 쉽게 하는 방법은?

  • 유리수 혼합 계산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정수와 유리수의 혼합 계산 - 곱셈과 나눗셈의 혼합 계산

  • favicon[EBS 수학의 답] 정수와 유리수의 혼합 계산 - 복잡한 식의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