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수의 뺄셈'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유리수란 분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수야.
  • 뺄셈은 어떤 수에서 다른 수를 빼는 연산이야.
  • 덧셈과 뺄셈의 관계: 뺄셈은 덧셈의 반대 연산으로, 뺄셈을 할 때는 덧셈을 활용해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

2️⃣ 핵심 개념:

  • 유리수의 뺄셈은 한 유리수에서 다른 유리수를 빼는 것이야.
  • 뺄셈은 "빼는 수의 부호를 바꾸고 더하는 것"으로 바꿀 수 있어.
    즉, ab=(+a)+(+b)=(+a)+(b)a - b = (+a) + (+b) = (+a) + (-b)처럼 말이지. 여기서 aabb는 유리수야.
  • 이 방법을 쓰면 음수와 양수가 섞여 있어도 쉽게 계산할 수 있어.
    예를 들면, 3(2)=3+2=53 - (-2) = 3 + 2 = 5 처럼!
  • 교환법칙은 덧셈에서는 성립하지만 뺄셈에서는 성립하지 않음을 함께 기억해줘.

3️⃣ 예제 및 적용:

  • 친구가 55천 원을 가지고 있었는데, 33천 원을 빌려줬어. 그러면 친구가 가진 돈은 얼마일까? 53=2\rightarrow 5 - 3 = 2(천 원)
  • 1213\dfrac{1}{2} - \dfrac{1}{3} 을 계산해 보자.
    먼저 빼는 수의 부호를 바꿔 더하기로 바꾸면,
    12+(13)\dfrac{1}{2} + \left(-\dfrac{1}{3}\right)
    두 분수를 통분하여 더하면,
    36+(26)=16\dfrac{3}{6} + \left(-\dfrac{2}{6}\right) = \dfrac{1}{6}
    즉, 결과는 16\dfrac{1}{6}이야.

4️⃣ 개념 정리:

  • 유리수의 뺄셈은 뺄 수의 부호를 바꿔 더하는 것과 같다!
  • 뺄셈에서 부호를 바꾸는 연습을 많이 하면 실수가 줄어들어.
  • 뺄셈을 덧셈으로 바꾸면 음수와 양수 계산이 더 쉬워져.
  • 항상 뺄셈을 할 때는 부호와 괄호를 주의 깊게 확인하자! 😊

유리수의 뺄셈에서 부호를 바꾸는 이유는 무엇일까?
온도 변화에서 유리수 뺄셈은 어떻게 쓰일까?
유리수 뺄셈과 덧셈이 같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유리수의 뺄셈'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유리수의 뺄셈에서 부호를 바꾸는 이유는 무엇일까?

  • 온도 변화에서 유리수 뺄셈은 어떻게 쓰일까?

  • 유리수 뺄셈과 덧셈이 같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뺄셈 - 유리수의 뺄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