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인수분해 하는 방법

'소인수분해 하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소인수분해를 이해하려면 먼저 소수합성수 개념을 알아야 해.

  • 소수: 11과 자기 자신만으로 나누어지는 11보다 큰 자연수 (예: 2,3,5,72, 3, 5, 7)
  • 합성수: 소수가 아닌 자연수, 즉 11과 자기 자신 외에 다른 약수가 있는 수 (예: 4,6,8,94, 6, 8, 9)
    또한, 약수는 어떤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를 말해. 예를 들어 1212의 약수는 1,2,3,4,6,121, 2, 3, 4, 6, 12야.

2️⃣ 핵심 개념

소인수분해란 어떤 합성수를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이야.
예를 들어 12122×2×32 \times 2 \times 3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2233은 소수야.
소인수분해를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

  • 나눗셈 방법 (연속 나누기)

    1. 작은 소수부터 차례대로 나누어 본다.
    2. 나누어 떨어지면 그 소수로 나누고 몫을 다시 나누어 본다.
    3. 더 이상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4. 마지막 몫과 나눈 소수들을 모두 곱하면 원래 수가 된다.
  • 나무 그림 방법 (인수분해 트리)

    1. 수를 두 개의 인수로 나눈다.
    2. 각 인수를 다시 소수로 나누어 트리처럼 분해한다.
    3. 끝까지 소수로 분해하면 모든 가지의 끝에 소수가 나온다.
  • 소인수분해 표 사용

    1. 소수를 이용해 차례대로 나누고, 몫을 계속 적는다.
    2. 몫이 11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3️⃣ 예제 및 적용

예를 들어 3636을 소인수분해해 보자!

  • 나눗셈 방법:
    36÷2=1818÷2=99÷3=33÷3=136 \div 2 = 18 → 18 \div 2 = 9 → 9 \div 3 = 3 → 3 \div 3 = 1
    따라서 36=2×2×3×3=22×3236 = 2 \times 2 \times 3 \times 3 = 2^2 \times 3^2
  • 실생활 예:
    친구들과 간식을 나눌 때, 3636개의 사탕을 모두 똑같이 나누고 싶다면 소인수분해를 통해 최대공약수를 구할 수 있어. 예를 들어 22명, 33명, 44명 등 몇 명이 공평하게 나눌 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지.

4️⃣ 개념 정리

  • 소인수분해는 합성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방법이야.
  • 대표적인 방법은 나눗셈 방법, 나무 그림 방법, 그리고 소인수분해 표가 있어.
  • 가장 작은 소수부터 차근차근 나누는 것이 중요해.
  • 연습할수록 자연스럽게 빠르게 분해할 수 있어.
  • 실생활에서 물건을 나누거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를 구할 때 꼭 필요한 기초 개념이니 꼭 익혀 두자!

궁금하면 언제든 물어봐~ 😊

소인수분해를 통해 최대공약수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
소인수분해가 실생활에서 어떤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까?
소인수분해를 할 때 어떤 소수부터 먼저 나누는 게 좋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소인수분해 하는 방법'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소인수분해를 통해 최대공약수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

  • 소인수분해가 실생활에서 어떤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까?

  • 소인수분해를 할 때 어떤 소수부터 먼저 나누는 게 좋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소인수분해 - 소인수분해

  • favicon[연산] 소인수분해(방법1)

  • favicon[연산] 소인수분해(방법2)

  • favicon[연산] 소인수분해(방법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