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형에서의 확률'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도형에서의 확률은 모든 경우의 수를 전체 넓이로 두고,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해당하는 부분의 넓이로 두어 계산을 하면 돼.
  • 쉽게 말해서, 도형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어.
  • 즉, 어떤 도형에서 특정한 영역 A\text{A}가 선택될 확률 pp
  • p=(A에 해당하는 부분의 넓이)(도형 전체의 넓이)p = \dfrac{(\text{A에 해당하는 부분의 넓이})}{(\text{도형 전체의 넓이})}로 계산해.

2️⃣ 개념 더 알아보기

  • 도형에서 확률을 구할 때 같은 크기나 조건을 가진 부분들이 균등하게 나누어져 있을 때 확률을 쉽게 계산할 수 있어.

3️⃣ 예제 살펴보기

  • 예를 들어, 55등분된 원판을 회전시켰을 때, 바늘이 A\text{A} 영역에 멈출 확률은 어떻게 될까?
    image.png

  • 원판 전체 넓이를 11로 생각하면, 각 영역의 넓이는 15\dfrac{1}{5}이 돼.

  • 따라서, 바늘이 A\text{A} 영역에 멈출 확률은 p=(영역 A의 넓이)(원판 전체 넓이)=151=15p = \dfrac{(\text{영역 A의 넓이})}{(\text{원판 전체 넓이})} = \dfrac{\dfrac{1}{5}}{1} = \dfrac{1}{5}야.

  • 즉, 바늘이 A\text{A} 영역에 멈출 확률은 0.20.2가 돼.

  • 여기서, 각 영역의 넓이가 같으므로 각 영역에 바늘이 멈출 확률은 모두 같다고 할 수 있어.


도형에서 확률을 구할 때 넓이가 같은 부분과 다른 부분의 차이는 무엇일까?
일상생활에서 도형의 넓이를 이용해 확률을 구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만약 도형이 33등분이 아닌 불규칙하게 나누어졌다면 확률을 어떻게 구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도형에서의 확률'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도형에서 확률을 구할 때 넓이가 같은 부분과 다른 부분의 차이는 무엇일까?

  • 일상생활에서 도형의 넓이를 이용해 확률을 구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 만약 도형이 33등분이 아닌 불규칙하게 나누어졌다면 확률을 어떻게 구할까?

  • favicon확률6 도형에서의 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