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로 세우기'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서로 다른 nn개를 한 줄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n×(n1)×(n2)××1n \times (n-1) \times (n-2) \times \cdots \times 1 이야.

2️⃣ 개념 더 알아보기

  • 왜 이렇게 곱하는지 생각해보자.
  • 첫 번째 자리에 누구나 올 수 있으니 nn가지 경우가 있어.
  • 두 번째 자리는 첫 번째 자리를 제외한 (n1)(n-1)가지 경우가 있어.
  • 세 번째 자리는 앞 두 자리를 제외한 (n2)(n-2)가지 경우가 있고, 이런 식으로 계속 이어져.
  • 서로 간에 영향을 미치므로, 각 자리의 경우의 수를 모두 곱해야 전체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어.
  • 한 줄로 세울 때 이웃하여 세우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될지 알아보자.
  • 이는 이웃하는 것을 하나로 묶어 한 줄로 세우는 경우의 수를 구하고, 묶음 안에서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 두 경우의 수를 곱하면 돼.
  • 예를 들어 nn명 중 두 명이 이웃한다고 한다면, 이 두 명을 한 사람으로 생각해서 이 묶음과 나머지 사람들을 한 줄로 세워.
  • 그러면 총 사람 수는 (n1)(n-1)명이 되고, 이를 세우는 경우의 수는 (n1)×(n2)××1(n-1) \times (n-2) \times \cdots \times 1 이 돼.
  • 그리고 묶음 안에서 두 명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으니 22가지 경우가 있어.
  • 그래서 이웃하여 세우는 경우의 수는
    2×(n1)×(n2)××12 \times (n-1) \times (n-2) \times \cdots \times 1

3️⃣ 예제 살펴보기

  • A, B, C, D{\text{A, B, C, D}} 네 명을 한 줄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될까?
  • 첫 번째 자리에 올 수 있는 사람은 44명, 두 번째 자리는 남은 33명, 세 번째 자리는 22명, 마지막 자리는 11명 남아.
  • 따라서 경우의 수는 4×3×2×1=244 \times 3 \times 2 \times 1 = 24가지야.
  • A, B, C, D{\text{A, B, C, D}} 네 명 중 A, B{\text{A, B}}를 이웃하여 세우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될까?
  • A, B{\text{A, B}}를 하나의 덩어리로 묶으면, 덩어리와 나머지 22명까지 총 인원은 33명이야.
  • 33명을 한 줄로 세우는 경우는 3×2×1=63 \times 2 \times 1 = 6가지야.
  • 그리고 A, B{\text{A, B}} 두 명의 순서를 바꾸는 경우 22가지가 있어.
  • 따라서, 경우의 수는 2×6=122 \times 6 = 12가지야.

한 줄로 세울 때 특정 두 사람이 꼭 붙어야 하는 이유를 곱셈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친구들과 줄 서서 놀이기구 탈 때, 특정 친구가 옆에 있어야 할 경우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한 줄로 세울 때 한 사람의 위치가 바뀌면 경우의 수는 어떻게 달라질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한 줄로 세우기'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한 줄로 세울 때 특정 두 사람이 꼭 붙어야 하는 이유를 곱셈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 친구들과 줄 서서 놀이기구 탈 때, 특정 친구가 옆에 있어야 할 경우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 한 줄로 세울 때 한 사람의 위치가 바뀌면 경우의 수는 어떻게 달라질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경우의 수 - 이웃하여 세우는 경우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