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선과 반지름'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원에서 접선은 원과 딱 한 점에서만 만나는 직선을 말해.
  • 즉, 반지름과 원이 만나는 점에서 반지름에 수직으로 그은 직선이 그 원의 접선이야.
  • 원의 접선은 그 접점을 지나는 원의 반지름과 서로 수직이야.
    OTl\Rightarrow \overline{\text{OT}} \perp l
    개념 1.png

2️⃣ 개념 더 알아보기

  • 왜 접선과 반지름은 항상 수직일까? 🧐
    원의 중심에서 접점까지 그은 반지름을 생각해 보자.
    원의 반지름은 항상 중심에서 원 위의 점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야.
    어떤 직선이 원과 한 점에서 만나려면, 중심에서 그 직선까지의 거리가 반지름과 같아야 해.
    그런데 중심에서 직선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는 직선에 내린 수선이야.
    그러므로 원의 접선은 그 접점을 지나는 원의 반지름과 서로 수직이야!

  • 또한, 반대로 접점에서 반지름에 수직인 직선은 항상 그 원의 접선이 된다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야!


3️⃣ 예제 살펴보기

아래 그림에서 PA\overrightarrow{\text{PA}}가 원 O\text{O}의 접선일 때, x\angle x의 크기를 구하시오.
개념 2.png
PA\overrightarrow{\text{PA}}가 원 O\text{O}의 접선이므로   PAO=90\; \angle \text{PAO} = 90^\circ야.
따라서   x=180(90+65)=25\; \angle x = 180^\circ - (90^\circ + 65^\circ ) = 25^\circ야.


접선과 반지름이 수직인 이유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접선과 반지름이 수직이 아니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원의 중심에서 접점까지 길이를 알 때 접선과 관련된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접선과 반지름'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접선과 반지름이 수직인 이유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접선과 반지름이 수직이 아니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원의 중심에서 접점까지 길이를 알 때 접선과 관련된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원과 직선 - 원의 접선의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