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각삼각형이 되는 조건

'직각삼각형이 되는 조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세 변의 길이가 aa, bb, cc (단, cc는 가장 긴 변)인 삼각형에서, a2+b2=c2a^2 + b^2 = c^2이 성립한다고 하자.
  • 그러면 이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cc인 직각삼각형이야.
  • 즉, 삼각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가 성립하면 그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2️⃣ 개념 더 알아보기

  • 피타고라스 정리가 성립되는 수들을 피타고라스 수라고 해.
  • 몇 가지 기억해두면 문제 풀 때 빠르게 계산이 가능해.
  • (3,4,53, 4, 5), (5,12,135, 12, 13), (6,8,106, 8, 10), (7,24,257, 24, 25) 등

3️⃣ 예제 살펴보기

  • 변의 길이가 3,4,53, 4, 5인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인지 아닌지 판단해보자.
  • 가장 긴 변은 55이고, 나머지는 3344야.
  • 33의 제곱은 99, 44의 제곱은 1616이니까 두 변의 제곱 합은 9+16=259 + 16 = 25야.
  • 가장 긴 변 55의 제곱도 2525이므로 32+42=523^2 + 4^2 = 5^2가 성립해.
  • 따라서 이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세 변의 길이가 6,8,106, 8, 10인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왜 가장 긴 변의 제곱이 나머지 두 변의 제곱 합과 같아야 직각삼각형일까?
직각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실제 건축이나 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직각삼각형이 되는 조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세 변의 길이가 6,8,106, 8, 10인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왜 가장 긴 변의 제곱이 나머지 두 변의 제곱 합과 같아야 직각삼각형일까?

  • 직각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실제 건축이나 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favicon[중등인강/중등수학] 직각삼각형이 되는 조건 - 수박씨닷컴 장계환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