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도형에서 닮음의 성질

'입체도형에서 닮음의 성질'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한 입체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거나 축소한 도형이 다른 입체도형과 모양과 크기가 같을 때, 이 두 입체도형은 서로 닮은 관계에 있다 또는 서로 닮은 도형이라고 말해.
  • 닮은 두 입체도형에서 대응하는 모서리의 길이의 비는 일정해.
  • 또, 대응하는 면은 닮은 도형이야.
  • 닮음비가 m:nm : n이면 겉넓이의 비는 m2:n2m^2 : n^2이고, 부피의 비는 m3:n3m^3 : n^3이야.

2️⃣ 개념 더 알아보기

  • 입체도형에서 닮음인 두 도형의 닮음비가 m:nm : n이면 겉넓이의 비는 m2:n2m^2 : n^2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아.
  •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ma,na,ma, na,인 두 정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해보자.
  • 정육면체 겉넓이는 한 면의 넓이의 66배이기 때문에, 두 정육면체의 넓이는 6×(ma)2=6m2a2, 6×(na)2=6n2a26 \times (ma)^2=6m^2a^2, \ 6 \times (na)^2=6n^2a^2이 되는 걸 알 수 있어.
  • 따라서, 두 정사각형의 넓이비는 6m2a2:6n2a2=m2:n26m^2a^2 : 6n^2a^2 = m^2 : n^2이 돼.
  • 위 내용에 의해 우리는 겉넓이비가 닮음비의 제곱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 입체도형에서 닮음인 두 도형의 닮음비가 m:nm : n이면 부피의 비는 m3:n3m^3 : n^3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아.
  •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ma,na,ma, na,인 두 정육면체의 부피를 구해보자.
  • 정육면체 부피는 한 모서리 길이의 세제곱이기 때문에, 두 정육면체의 부피는 (ma)3=m3a3, (na)3=n3a3(ma)^3=m^3a^3, \ (na)^3=n^3a^3이 되는 걸 알 수 있어.
  • 따라서, 두 정사각형의 부피비는 m3a3:n3a3=m3:n3m^3a^3 : n^3a^3 = m^3 : n^3이 돼.
  • 위 내용에 의해 우리는 부피의 비가 닮음비의 세제곱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3️⃣ 예제 살펴보기

  • 닮은 두 입체도형의 가로 길이가 33, 다른 도형의 대응하는 가로 길이가 66 이라고 할 때, 두 도형의 겉넓이의 비와 부피의 비는 각각 어떻게 될까?
  • 그러면 두 도형의 닮음 비는 3:6=1:23 : 6 = 1 : 2가 돼.
  • 겉넓이비는 12:22=1:41^2 : 2^2 = 1 : 4가 되고, 큰 도형의 겉넓이는 작은 도형의 겉넓이의 44배임을 알 수 있어.
  • 부피의 비는 13:23=1:81^3 : 2^3 = 1 : 8이 되고, 큰 도형의 부피는 작은 도형의 부피의 88배가 돼.

입체도형에서 닮음 비가 2:32 : 3일 때 부피의 비는 얼마일까?
닮은 입체도형을 실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예는 무엇일까?
닮은 두 입체도형에서 부피와 겉넓이 관계를 왜 다르게 생각해야 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입체도형에서 닮음의 성질'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입체도형에서 닮음 비가 2:32 : 3일 때 부피의 비는 얼마일까?

  • 닮은 입체도형을 실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예는 무엇일까?

  • 닮은 두 입체도형에서 부피와 겉넓이 관계를 왜 다르게 생각해야 할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닮은 도형 -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에서 닮음의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