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사변형과 넓이
'평행사변형과 넓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두 대각선에 의해 사등분 돼.
평행사변형 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을 라고 하자.

또 평행사변형 내부의 임의의 한 점 에 대하여

2️⃣ 개념 더 알아보기
왜 그러한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보자.
점 를 지나고 두 변 에 평행한 직선 을 각각 그어보자.
그러면 다음 그림과 같아진다는 걸 알 수 있어.

따라서, 위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어.
3️⃣ 예제 살펴보기
- 평행사변형 의 두 대각선 와 가 교차하는 점을 라고 할 때, 평행사변형의 넓이가 이라고 하면 두 대각선에 의해 사등분 된 넓이 중 한 삼각형의 넓이는 어떻게 될까?
- 네 개의 삼각형 는 넓이가 모두 같으므로 평행사변형 넓이의 씩을 차지해.
- 따라, 한 삼각형 넓이는 가 돼.
- 이제 평행사변형 내부에 점 를 찍었다고 하자.
- 와 넓이의 합은 어떻게 될까?
- 평행사변형 넓이의 절반이 되므로 두 삼각형 넓이의 합은 가 돼.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이 넓이를 똑같이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
평행사변형 내부의 점 가 넓이 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유는 뭘까?
평행사변형 넓이 계산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평행사변형과 넓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이 넓이를 똑같이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
평행사변형 내부의 점 가 넓이 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유는 뭘까?
평행사변형 넓이 계산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EBS 수학의 답] 평행사변형 - 평행사변형에서 넓이의 활용(서술형)(1)
[EBS 수학의 답] 평행사변형 - 평행사변형에서 넓이의 활용(서술형)(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