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O{\text{O}}ABC\triangle{\text{ABC}}의 외심일 때, 다음의 경우가 성립해.

  • 첫째, BOC=2A\angle {\text{BOC}} = 2 \angle {\text{A}}야.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 개념 2.png

  • 둘째, x+y+z=90\angle {\text{x}} + \angle {\text{y}} + \angle {\text{z}} = 90^\circ가 성립해.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 개념 1.png

  • I{\text{I}}ABC\triangle{\text{ABC}}의 내심일 때, 다음의 경우가 성립해.

  • 첫째, BIC=90+12A\angle {\text{BIC}} = 90^\circ + \dfrac{1}{2} \angle {\text{A}}야.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 개념 4.png

  • 둘째, x+y+z=90\angle {\text{x}} + \angle {\text{y}} + \angle {\text{z}} = 90^\circ가 성립해.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 개념 3.png

  • 셋째, ABC\triangle{\text{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text{r}}이라고 할 때,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아.

  • ABC=12×r×(AB+BC+CA)\triangle{\text{ABC}} = \dfrac{1}{2} \times {\text{r}} \times (\overline{\text{AB}} + \overline{\text{BC}} + \overline{\text{CA}})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 개념 5.png


2️⃣ 개념 더 알아보기

  • 외심 첫 번째 경우는 중학교 1학년 2학기에서 배운 외각의 성질(즉,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다른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다.)로부터 알 수 있어.
  • ()(ⅰ) 외심 성질에 의해, OAB\triangle{\text{OAB}}OAC\triangle{\text{OAC}}는 이등변삼각형이 돼.
    ()(ⅱ) 외각의 성질에 의해 BOD=BAO+ABO\angle{\text{BOD}} = \angle{\text{BAO}} + \angle{\text{ABO}} 이고 COD=CAO+ACO\angle{\text{COD}} = \angle{\text{CAO}} + \angle{\text{ACO}} 이므로 BOC=2A\angle {\text{BOC}} = 2 \angle {\text{A}}임을 알 수 있어.

3️⃣ 예제 살펴보기

  • 삼각형 ABC\text{ABC}에서 외심 O\text{O}가 있을 때, A=40\angle \text{A} = 40^\circ라면, BOC\angle \text{BOC} 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

  • 외심에서의 각도 성질에 따라 BOC=2×40=80\angle \text{BOC} = 2 \times 40^\circ = 80^\circ가 돼. 이걸 이용해 원의 중심에서 생기는 각도를 쉽게 알 수 있어.
    image.png

  • 내심 I\text{I}가 있는 삼각형에서 A=60\angle \text{A} = 60^\circ라면, BIC\angle \text{BIC} 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

  • 내심에서의 각도 성질에 따라 BIC=90+12×60=90+30=120\angle \text{BIC} = 90^\circ + \dfrac{1}{2} \times 60^\circ = 90^\circ + 30^\circ = 120^\circ가 되지. 이 성질은 내심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 계산에 활용돼.
    image.png

  • 이 때, 삼각형 ABC\text{ABC}의 세 변 길이가 각각 55, 66, 77이고 내접원의 반지름 r=2r = 2라면, 넓이는 12×2×(5+6+7)=1×18=18\dfrac{1}{2} \times 2 \times (5 + 6 + 7) = 1 \times 18 = 18이야. 이렇게 내심 반지름과 변 길이 합을 이용해 넓이를 쉽게 구할 수 있어.


외심과 내심의 각도 성질이 삼각형의 넓이 계산에 어떻게 도움을 줄까?
실생활에서 삼각형 외심과 내심을 이용하는 예는 무엇일까?
내심과 외심이 삼각형의 어떤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내는 점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의 활용'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외심과 내심의 각도 성질이 삼각형의 넓이 계산에 어떻게 도움을 줄까?

  • 실생활에서 삼각형 외심과 내심을 이용하는 예는 무엇일까?

  • 내심과 외심이 삼각형의 어떤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내는 점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외심의 응용(1)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외심의 응용(2)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내심의 응용(2)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내심의 응용(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