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선과 접점'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O{\text{O}}와 직선 ll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이 직선을 원의 접선이라고 해.

  • 이때, 원과 접선이 만나는 점을 접점이라고 불러.

  • 원의 접선은 접점을 지나는 반지름과 서로 수직관계에 있어.
    접선과 접점 개념 1.png

  • 즉, OTl\overline{\text{OT}} \perp l 이 성립해.


2️⃣ 개념 더 알아보기

  • 원과 직선이 만나는 점이 두 개 이상이면 그 직선은 원을 가로지르는 이 되고, 한 점만 만나면 접선이 돼.

3️⃣ 예제 살펴보기

  • O{\text{O}}와 접선 ll이 접점 T{\text{T}}에서 만난다고 해보자.
  • 원의 중심 O{\text{O}}에서 접점 T{\text{T}}까지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 길이와 같아.
  • 여기서 접선 ll과 반지름 OT\overline{\text{OT}}가 이루는 각은 직각, 즉 9090^\circ야.
  • 예를 들어, 그림에서 OAT=30\angle{\text{OAT}} = 30^\circ라고 하면, 접선 성질에 의해, AOT=9030=60\angle{\text{AOT}} = 90^\circ - 30^\circ = 60^\circ로 구할 수 있어.
    접선과 접점 개념 2.png

접선이 원과 한 점만 만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접점에서 반지름과 접선이 수직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우리 주변에서 접선과 접점의 개념을 볼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접선과 접점'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접선이 원과 한 점만 만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접점에서 반지름과 접선이 수직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우리 주변에서 접선과 접점의 개념을 볼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내접원과 접선의 길이

  • favicon[EBS 수학의 답] 원과 직선 - 원의 접선의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