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형의 외접원과 외심'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삼각형의 외접원이란, 한 다각형의 모든 꼭짓점이 한 원 위에 있을 때를 말해.

  • 외접원의 중심을 외심이라고 해.
    삼각형의 외접원과 외심 개념 1.png

  •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O{\text{O}}에서 만나. 이 점 O{\text{O}}ABC\triangle{\text{ABC}}의 외심이야.

  •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는 모두 같아. 여기서 이 거리가 바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돼.

  • 즉, 외심 O{\text{O}}에서 각 꼭짓점 A\text{A}, B\text{B}, C\text{C}까지의 거리 OA=OB=OC\overline{\text{OA}} = \overline{\text{OB}} = \overline{\text{OC}} 가 성립해.


2️⃣ 개념 더 알아보기

  • 모든 삼각형은 하나의 외접원과 외심을 가져.
    삼각형의 외접원과 외심 개념 2.png

  • 위 그림에서 OD\overline{\text{OD}}, OE\overline{\text{OE}}, OF\overline{\text{OF}}가 삼각형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일 때,
    AODBOD\triangle{\text{AOD}} \equiv \triangle{\text{BOD}} (SAS({\text{SAS}}합동))
    BOECOE\triangle{\text{BOE}} \equiv \triangle{\text{COE}} (SAS({\text{SAS}}합동))
    COFAOF\triangle{\text{COF}} \equiv \triangle{\text{AOF}} (SAS({\text{SAS}}합동))이 성립해.

  • 따라서, OA=OB=OC\overline{\text{OA}} = \overline{\text{OB}} = \overline{\text{OC}}가 되는 점 O{\text{O}}가 외심임을 알 수 있어.😊


3️⃣ 예제 살펴보기

  • 삼각형 ABC{\text{ABC}}에서 OA=5  cm\overline{\text{OA}} = 5 \; {\text{cm}}, OB=5  cm\overline{\text{OB}} = 5 \; {\text{cm}}, OC=5  cm\overline{\text{OC}} = 5 \; {\text{cm}}라면 점O{\text{O}}에서 꼭짓점 A{\text{A}}, B{\text{B}}, C{\text{C}}까지의 거리가 같으므로, 점 O{\text{O}}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5  cm5 \; {\text{cm}}인 원은 이 삼각형의 외접원임을 알 수 있고, 여기서 점 O{\text{O}}가 외심이 돼.
  • 이 방법은 삼각형의 세 꼭짓점이 모두 원 위에 있을 때만 가능하므로, 외심은 꼭짓점과 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삼각형의 외심이 꼭짓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다는 사실이 왜 중요할까?
외심을 이용해 삼각형에서 같은 길이와 같은 각을 찾을 수 있을까?
외심을 이용해 삼각형의 외접원을 실제 생활에서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삼각형의 외접원과 외심'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삼각형의 외심이 꼭짓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다는 사실이 왜 중요할까?

  • 외심을 이용해 삼각형에서 같은 길이와 같은 각을 찾을 수 있을까?

  • 외심을 이용해 삼각형의 외접원을 실제 생활에서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외심의 뜻과 성질(1)

  • favicon[EBS 수학의 답]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 삼각형의 외심의 뜻과 성질(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