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일차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그래프의 위치 관계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그래프의 위치 관계'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연립일차방정식은 두 개 이상의 일차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해를 찾는 문제야.
  •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직선이 되고, 이 두 직선의 위치 관계에 따라 해의 개수가 결정돼.
  • 두 직선이 서로 다른 한 점에서 만나면 해가 1개 있어.
  • 두 직선이 완전히 겹치면 해가 무수히 많아.
  • 두 직선이 평행해서 만나지 않으면 해가 없어.
  • 즉, 해의 개수는 직선의 위치 관계(한 점에서 만남, 겹침, 평행)에 따라 0, 1, 무한대 중 하나야.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그래프01.png

2️⃣ 개념 더 알아보기

  •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두 직선의 기울기가 다를 때야.
    기울기가 다르면 두 직선은 한 점에서 꼭 만나서 해가 1개인 연립방정식이 돼.
  • 두 직선이 완전히 겹친다는 것은 두 방정식이 같은 직선을 나타낸다는 뜻이야.
    이때는 모든 점이 공통해가 되어 해가 무한대가 돼.
  • 두 직선이 평행하다는 것은 기울기는 같지만 yy절편이 다르다는 뜻이야.
    이 경우는 두 직선이 만나지 않으므로 해가 없어.
  • 이 세 가지 경우는 기울기와 yy절편의 비교로 쉽게 판단할 수 있어.
  • 따라서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의 개수는 두 직선의 기울기와 yy절편 관계를 보면 바로 알 수 있어.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그래프02.png

3️⃣ 예제 살펴보기

  • 예를 들어, 두 방정식 y=2x+3y = 2x + 3y=x+1y = -x + 1 을 생각해 보자.
    첫 번째 직선의 기울기는 22, 두 번째 직선의 기울기는 1-1이야.
    기울기가 다르니까 두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 해가 1개 있어.
  • 또 다른 예로, y=3x+2y = 3x + 2y=3x1y = 3x - 1 을 보자.
    기울기는 둘 다 33으로 같지만 yy절편이 다르지?
    그래서 두 직선은 평행해서 만나지 않아, 해가 없어.
  • 마지막으로 y=x+4y = -x + 42y=2x+82y = -2x + 8 을 보자.
    두 번째 식을 y=x+4y = -x + 4 로 바꾸면 첫 번째와 같아.
    이 경우 두 직선이 완전히 겹치니까 해가 무한대야.

두 직선이 평행하지 않으면서 해가 없을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그래프의 위치 관계'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두 직선이 평행하지 않으면서 해가 없을 수 있을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와 그래프 - 연립방정식의 해의 개수와 그래프

  • favicon[중등인강/중2 수학] 일차함수_연립방정식과 그 그래프-수박씨닷컴 장계환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