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일차함수는 y=ax+by = ax + b 꼴로 나타내는 함수야. 여기서 aabb는 숫자(상수)이고, a0a \neq 0. 즉, yyxx의 일차식으로 나타낼 때를 말하는 거지.
  • 일차방정식은 미지수를 포함한 식으로, 예를 들어 ax+by+c=0ax + by + c = 0 같은 식을 말해. 여기서 a,b,ca, b, c는 상수이고, x,yx, y는 미지수야.
  • 미지수가 두 개인 일차방정식 ax+by+c=0ax + by + c = 0의 해, 즉 이 식을 만족하는 x,yx, y 값을 좌표평면에 점으로 나타내면 이 점들이 이루는 모양은 직선이 돼. 이 직선을 그리면 이것을 일차방정식의 그래프라고 해.
  • 일차함수 그래프도 직선이고, 미지수가 하나인 식을 y=ax+by = ax + b로 나타내는데, 이것을 ax+by+c=0ax + by + c = 0 형태로 바꿀 수 있어. 즉, 일차함수 그래프는 미지수 두 개인 일차방정식 그래프의 특별한 경우야.

2️⃣ 개념 더 알아보기

  • 미지수가 두 개인 일차방정식 ax+by+c=0ax + by + c = 0에서 b0b \neq 0일 때, yy에 대해 정리하면
    y=abxcby = -\dfrac{a}{b}x - \dfrac{c}{b}
  • 이 식은 바로 일차함수 y=mx+ny = mx + n의 꼴이야.
    여기서 기울기 m=abm = -\dfrac{a}{b}, yy절편 n=cbn = -\dfrac{c}{b}가 돼.
  • 그래서 미지수 두 개인 일차방정식의 그래프는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동일한 직선이 되는 거야.
  • 즉, 일차방정식의 해의 집합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일차함수 그래프와 같은 직선이 나오고, 이 두 개념은 그래프 관점에서 완전히 연결돼 있어.
  • 중요한 점은, 일차방정식은 해를 찾는 문제고, 일차함수는 xx값에 따라 yy값을 대응시키는 규칙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그래프를 보면 같은 직선이 나타난다는 거야. 예를 들어,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 2xy+4=02x-y+4=0을 일차함수의 모양으로 바꾸면 y=2x+4y=2x+4야. 기울기는 22이고, yy절편은 44가 되는 거지.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01.png

3️⃣ 예제 살펴보기

  • 미지수 두 개인 일차방정식을 y=ax+by = ax + b 꼴로 바꾸면 일차함수 그래프와 같은 직선을 쉽게 그릴 수 있어.😊

  • (1) 2x+y+5=02x + y + 5 = 0 를 일차함수 꼴로 바꾸기 위해
    \quadyy에 대해 정리하면, y=2x5y = -2x - 5가 돼.

  • (2) 4xy1=04x - y - 1 = 0 를 일차함수 꼴로 바꾸기 위해
    \quadyy에 대해 정리하면 y=4x1y = 4x - 1가 돼.

  • (3) 10x+2y6=010x + 2y - 6 = 0yy에 대해 정리하면
    \quad2y=10x+62y = -10x + 6 \rightarrow y=5x+3y = -5x + 3로 바뀌어.

  • (4) 9x3y+2=09x - 3y + 2 = 0yy에 대해 정리하면
    \quad3y=9x2-3y = -9x - 2 \rightarrow y=3x+23y = 3x + \dfrac{2}{3}가 되지.


미지수가 두 개인 일차방정식 그래프가 직선이 되는 이유는 뭘까?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일차방정식의 계수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일차방정식 그래프가 일차함수 그래프와 같다는 사실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미지수가 두 개인 일차방정식 그래프가 직선이 되는 이유는 뭘까?

  •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일차방정식의 계수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 일차방정식 그래프가 일차함수 그래프와 같다는 사실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favicon[중등인강/중2 수학]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 수박씨닷컴 장계환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