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 b의 부호에 따른 일차함수 y=ax+by = ax + b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

'a,ba, b의 부호에 따른 일차함수 y=ax+by = ax + b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
'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일차함수 y=ax+by=ax+b의 그래프에서 aabb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을 알아보려면, 먼저 aabb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이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해보아야 해.

  • aa의 부호
    • a>0a>0일 때, xx의 값이 증가하면, yy의 값도 증가해.
    • a<0a<0일 때, xx의 값이 증가하면, yy의 값은 감소해.
  • a|a|이 클수록 그래프는 yy축에 가까워져!
  • bb의 부호
    • b>0b>0일 때, 그래프는 yy축과 양의 부분에서 만난다.
      \Rightarrow \quad (yy절편) >0\ >0
    • b<0b<0일 때, 그래프는 yy축과 음의 부분에서 만난다.
      \Rightarrow \quad (yy절편) <0\ <0

이제 각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에 대해 배워보자!


2️⃣ 핵심 개념

일차함수 y=ax+by=ax+b에서 a,ba, b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은 다음 표와 같아.

1,2,31, 2, 3 사분면 1,3,41, 3, 4 사분면
image.png image.png
1,2,41, 2, 4 사분면 2,3,42, 3, 4 사분면
image.png image.png

이제 그래프의 형태와 지나는 사분면만 보고, 일차함수 y=ax+by=ax+b에서 aabb의 부호를 유추할 수 있겠지?


3️⃣ 예제 및 적용

일차함수 y=ax+by=-ax+b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은 형태일때, aabb의 부호를 각각 구하여라. image.png

다음의 그래프는 제 1,2,41, 2, 4사분면을 지나는 그래프야. 그리고 그래프의 형태에서 기울기는 음수이고 yy절편은 양수인 것을 알 수 있어.

  • 기울기인 a-a는 양수이므로
    a>0\quad \Rightarrow \quad -a>0 a<0\quad \therefore \quad a<0
  • yy절편인 bb는 양수이므로
    b>0\quad \therefore \quad b>0

4️⃣ 개념 정리

  • 일차함수 그래프는 기울기 aayy절편 bb에 따라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이 달라져.
  • bb의 부호는 그래프가 yy축 어디에서 시작하는지 알려주고,
  • aa의 부호는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를 결정해.
  • 이 두 개만 알면 그래프가 어느 사분면을 지나는지 쉽게 예측할 수 있어! 😊

일차함수 그래프가 사분면을 지나는 모양을 바꾸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일까?
기울기와 y절편의 부호가 바뀔 때, 그래프가 실생활에서 어떤 상황과 비슷할까?
a와 b가 모두 음수일 때, 그래프가 왜 3사분면과 4사분면을 지나갈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a,ba, b의 부호에 따른 일차함수 y=ax+by = ax + b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 '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일차함수 그래프가 사분면을 지나는 모양을 바꾸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일까?

  • 기울기와 y절편의 부호가 바뀔 때, 그래프가 실생활에서 어떤 상황과 비슷할까?

  • a와 b가 모두 음수일 때, 그래프가 왜 3사분면과 4사분면을 지나갈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과 식 - a,b의 부호만 주어질 때, y=ax+b의 그래프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