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일차함수 y=ax+by = ax + b에서 xx의 값의 증가량에 대한 yy의 값의 증가량의 비율은 항상 일정한데 이 비율을 나타내는게 xx의 계수 aa야. 이 때 aa일차함수 y=ax+by = ax + b의 그래프의 기울기라고 불러.

  • 즉, 일차함수 y=ax+by = ax + b에서 기울기는 다음과 같아.
    (기울기)=(y의값의증가량)(x의값의증가량)=a\left( 기울기 \right) = \dfrac{(y의 값의 증가량)}{(x의 값의 증가량)} = a


2️⃣ 개념 더 알아보기

그래프를 보며 일차함수 기울기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 y=2x3y = 2x - 3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png

  • 일차함수 y=2x3y = 2x - 3의 그래프의 위의 두 점 (2,7)(-2, -7), (4,5)(4, 5)에서

  • xx의 값의 증가량 : 2-2에서 44가 됐으므로 66만큼 증가했어. 즉, 4(2)=6\left| 4 - ( - 2) \right | = 6

  • yy의 값의 증가량 : 7-7에서 55가 됐으므로 1212만큼 증가했어. 즉,
    5(7)=12\left | 5 - ( - 7 ) \right| = 12

  • 따라서 기울기는
    (기울기)=(y의값의증가량)(x의값의증가량)=126=2(기울기) = \dfrac{(y의 값의 증가량)}{(x의 값의 증가량)} = \dfrac{12}{6} = 2

  • 일차함수 y=2x3y = 2x - 3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22야. 즉, xx의 계수와 같다는 걸 알 수 있어.

  • y=2x3y = 2x - 3 위의 다른 두 점을 선택해서 기울기를 구해도 똑같이 22가 나와.


3️⃣ 예제 살펴보기

예제를 보며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를 이해해보자.

일차함수 위의 두 점 기울기
y=4x+1y = 4x + 1 (1,3)(-1, -3), (2,9)(2, 9) 123=4\dfrac{12}{3} = 4
y=5x2y = -5x - 2 (0,2)(0, -2), (2,12)(2, -12) 102=5\dfrac{-10}{2} = -5 (xx22 증가할 때 yy1010 감소
y=23x+3y = \dfrac{2}{3}x + 3 (6,1)(-6, -1), (3,5)(3, 5) 69=23\dfrac{6}{9} = \dfrac{2}{3}
y=12x+1y = - \dfrac{1}{2}x + 1 (4,3)(-4, 3), (2,0)(2, 0) 36=12\dfrac{-3}{6} = -\dfrac{1}{2} (xx66 증가할 때 yy33 감소)

일차함수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보다 클 때와 작을 때의 차이는 무엇일까?
기울기가 실생활에서 속도나 변화율을 나타낼 때 어떤 의미를 가질까?
기울기가 1인 일차함수 그래프와 기울기 3인 그래프는 어떻게 다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기울기'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일차함수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보다 클 때와 작을 때의 차이는 무엇일까?

  • 기울기가 실생활에서 속도나 변화율을 나타낼 때 어떤 의미를 가질까?

  • 기울기가 1인 일차함수 그래프와 기울기 3인 그래프는 어떻게 다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일차함수와 그 그래프 - 기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