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를 이해하려면 먼저, 분모의 유리화곱셈공식(2)를 알아야 해.

  • 분모의 유리화분모가 근호를 포함한 무리수일 때, 분모에 00이 아닌 수를 곱하여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을 말해.
    특히, a>0,b>0,ab=abbb=abba>0, \hspace{0.1cm} b>0 \hspace{0.1cm} 일 \hspace{0.1cm} 때, \dfrac{\sqrt{a}}{\sqrt{b}} = \dfrac{\sqrt{a}\sqrt{b}}{\sqrt{b}\sqrt{b}} = \dfrac{\sqrt{ab}}{b} 형태에 대해서 다루었어.

  • 곱셈공식(2)는 다음 식을 이야기해. (a+b)(ab)=a2b2(a+b)(a-b) = a^2 - b^2


2️⃣ 핵심 개념

  • 곱셈공식(2) (a+b)(ab)=a2b2(a+b)(a-b) = a^2 - b^2를 살펴보면 곱셈공식 중 유일하게 전개한 항들이 모두 제곱 형태임을 알 수 있어.
    이러한 특징 때문에 분모가 a+ba + \sqrt{b} 또는 a+b\sqrt{a} + \sqrt{b}꼴인 분수는 곱셈공식(2)를 이용하여 유리화할 수 있어.

예를 들어, 121=1×(2+1)(21)(2+1)\dfrac{1}{\sqrt{2} - 1} = \dfrac{1 \times (\sqrt{2} + 1)}{(\sqrt{2} - 1)(\sqrt{2} + 1)}
=2+121\hspace{2.7cm} = \dfrac{\sqrt{2} + 1}{2 - 1}
=2+1\hspace{2.7cm} = \sqrt{2} + 1
과 같이 유리화 할 수 있지.

  • 분모의 형태에 따라서
    b>0b>0, aa, bb는 유리수 cc는 실수일 때,
    ca+b=c(ab)(a+b)(ab)=c(ab)a2b\dfrac{c}{a+\sqrt{b}} = \dfrac{c(a - \sqrt{b})}{(a+\sqrt{b})(a-\sqrt{b})} = \dfrac{c(a-\sqrt{b})}{a^2 - b}
    a>0a>0, b>0b>0, aa, bb는 유리수 cc는 실수일 때, ca+b=c(ab)(a+b)(ab)=c(ab)ab\dfrac{c}{\sqrt{a}+\sqrt{b}} = \dfrac{c(\sqrt{a} - \sqrt{b})}{(\sqrt{a}+\sqrt{b})(\sqrt{a}-\sqrt{b})} = \dfrac{c(\sqrt{a}-\sqrt{b})}{a - b} (,ab)(단, \hspace{0.1cm} a \neq b)

3️⃣ 예제 및 적용

예를 들어,
32+5\dfrac{3}{2 + \sqrt{5}}
를 유리화해 볼게.
곱셈공식(2)를 이용하기 위해서 분자와 분모에 252 - \sqrt{5}를 곱해줘.
32+5×2525=3(25)(2+5)(25)\dfrac{3}{2 + \sqrt{5}} \times \dfrac{2 - \sqrt{5}}{2 - \sqrt{5}} = \dfrac{3(2 - \sqrt{5})}{(2 + \sqrt{5})(2 - \sqrt{5})}
분모는 곱셈 공식으로 계산하면
(2+5)(25)=22(5)2=45=1(2 + \sqrt{5})(2 - \sqrt{5}) = 2^2 - (\sqrt{5})^2 = 4 - 5 = -1
따라서 결과는
6351=6+35\frac{6 - 3\sqrt{5}}{-1} = -6 + 3\sqrt{5}


4️⃣ 개념 정리

  • 분모의 유리화분모가 근호를 포함한 무리수일 때, 분모에 00이 아닌 수를 곱하여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을 말해.
  • 이때 곱셈 공식(2)를 활용해서 분모와 분자에 분모가
    aba - \sqrt{b}꼴이면 a+ba + \sqrt{b}
    a+ba + \sqrt{b}꼴이면 aba - \sqrt{b}
    곱해서 분모를 유리수로 만들어.
  • 또, 분모가
    ab\sqrt{a} - \sqrt{b}꼴이면 a+b\sqrt{a} + \sqrt{b}
    a+b\sqrt{a} + \sqrt{b}꼴이면 ab\sqrt{a} - \sqrt{b}
    곱해서 분모를 유리수로 만들어.

학습 팁:
분모의 유리화를 할 때는 항상 분모와 분자에 같은 식을 곱하는 것을 잊지 말고, 곱셈공식을 활용해서 제곱근을 없애는 것에 집중해 보자! 😊


분모의 유리화를 왜 꼭 해야 할까? 실생활에서 어떤 경우에 필요할까?
곱셈공식을 이용해 분모를 유리화할 때, 부호를 반대로 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분모의 유리화 결과로 분모가 1 또는 -1이 될 때는 언제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분모의 유리화를 왜 꼭 해야 할까? 실생활에서 어떤 경우에 필요할까?

  • 곱셈공식을 이용해 분모를 유리화할 때, 부호를 반대로 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분모의 유리화 결과로 분모가 1 또는 -1이 될 때는 언제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

  • favicon[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서술형)(2)

  • favicon[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서술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