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를 이해하려면 먼저, 분모의 유리화와 곱셈공식(2)를 알아야 해.
분모의 유리화는 분모가 근호를 포함한 무리수일 때, 분모에 이 아닌 수를 곱하여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을 말해.
특히, 형태에 대해서 다루었어.곱셈공식(2)는 다음 식을 이야기해.
2️⃣ 핵심 개념
- 곱셈공식(2) 를 살펴보면 곱셈공식 중 유일하게 전개한 항들이 모두 제곱 형태임을 알 수 있어.
이러한 특징 때문에 분모가 또는 꼴인 분수는 곱셈공식(2)를 이용하여 유리화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과 같이 유리화 할 수 있지.
- 분모의 형태에 따라서
, , 는 유리수 는 실수일 때,
, , , 는 유리수 는 실수일 때,
3️⃣ 예제 및 적용
예를 들어,
를 유리화해 볼게.
곱셈공식(2)를 이용하기 위해서 분자와 분모에 를 곱해줘.
분모는 곱셈 공식으로 계산하면
따라서 결과는
4️⃣ 개념 정리
- 분모의 유리화는 분모가 근호를 포함한 무리수일 때, 분모에 이 아닌 수를 곱하여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을 말해.
- 이때 곱셈 공식(2)를 활용해서 분모와 분자에 분모가
꼴이면 를
꼴이면 를
곱해서 분모를 유리수로 만들어. - 또, 분모가
꼴이면 를
꼴이면 를
곱해서 분모를 유리수로 만들어.
학습 팁:
분모의 유리화를 할 때는 항상 분모와 분자에 같은 식을 곱하는 것을 잊지 말고, 곱셈공식을 활용해서 제곱근을 없애는 것에 집중해 보자! 😊
분모의 유리화를 왜 꼭 해야 할까? 실생활에서 어떤 경우에 필요할까?
곱셈공식을 이용해 분모를 유리화할 때, 부호를 반대로 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분모의 유리화 결과로 분모가 1 또는 -1이 될 때는 언제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분모의 유리화를 왜 꼭 해야 할까? 실생활에서 어떤 경우에 필요할까?
곱셈공식을 이용해 분모를 유리화할 때, 부호를 반대로 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분모의 유리화 결과로 분모가 1 또는 -1이 될 때는 언제일까?
[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
[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서술형)(2)
[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을 이용한 분모의 유리화(서술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