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방정식과 그 해(근)
'이차방정식과 그 해(근)'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이차방정식과 그 해(근)를 이해하려면 먼저 방정식과 일차방정식, 이차식 그리고 방정식의 해(근)의 개념을 알아야 해.
방정식: 등호()를 사용해서 나타낸 식을 등식이라 하는데 과 같이 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방정식이라고 해.
일차방정식: (일차식) 꼴로 표현되는 방정식을 일차방정식이라고 해.
이차식: 다항식의 각 항의 차수 중에서 가장 큰 차수가 인 다항식을 이차식이라고 해.
방정식의 해(근): 방정식이 참이 되게 하는 미지수의 값을 그 방정식의 해(근)이라고 해.
2️⃣ 핵심 개념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새겨져 있어:
"어떤 정사각형의 넓이와 그 한 변의 길이를 더하면 이다."
이 문제를 한 변의 길이를라 하고, 정사각형의 넓이와 그 한 변의 길이의 관계를 식으로 표현하면 이고, 이 등식을 (에 대한 이차식) 꼴로 표현하면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어.
- 이와 같이 모든 변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 하였을 때,
꼴이 되는 방정식을 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라고 해.
일반적으로 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꼴로 나타낼 수 있어.
이번에는 의 값이 , , , 일 때, 이차방정식 이 참이 되는지 거짓이 되는지 알아보려고 해.
의 값 | 좌변 | 우변 | 참/거짓 |
---|---|---|---|
거짓 | |||
참 | |||
거짓 | |||
참 |
위의 표를 보면 , 일 때, 이차방정식 이 참이 됨을 알 수 있어.
- 이와 같이 이차방정식을 참이 되게 하는 의 값을 그 이차방정식의 해 또는 근이라고 해.
또한 이차방정식의 모든 해를 구하는 것을 이차방정식을 푼다고 해.
3️⃣ 예제 및 적용
수학적 예시:
- 은 이차방정식이 아니고 이차식이야. 왜냐하면 등호()가 없어 방정식이 아니기 때문이야.
- 은 이차방정식이 아니고 일차방정식이야. 왜냐하면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하면 으로 좌변이 일차식으로 정리되기 때문이야.
- 은 이차방정식이야. 왜냐하면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하면 으로 (에 대한 이차식) 꼴이기 때문이야.
특히, 이차방정식 은 , 일 때, 참이 되므로 이차방정식 의 해는 또는 야.
실생활 예시:
공 던지기 운동에서 공의 높이를 시간에 따라 나타낼 때, 특정 시간 때의 공의 위치를 이차방정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모든 변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 하였을 때,
꼴이 되는 방정식을 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라고 해.
일반적으로 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꼴로 나타낼 수 있어. - 이차방정식을 참이 되게 하는 의 값을 그 이차방정식의 해 또는 근이라고 해.
또한 이차방정식의 모든 해를 구하는 것을 이차방정식을 푼다고 해.
학습 팁: 이차방정식인지 아닌지 판단할 때는 식을 좌변으로 정리해야 하는 걸 잊지않는게 중요해! 😊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이차방정식과 그 해(근)'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이차방정식과 일차방정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실생활에서 이차방정식이 쓰이는 예는 또 어떤 것이 있을까?
이차방정식의 계수 가 이 되면 안되는 이유가 뭘까?
[EBS 수학의 답] 이차방정식의 풀이 - 이차방정식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