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식의 인수분해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를 이해하려면 인수, 인수분해와 인수분해 공식을 알아야해.
인수: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했을 때, 각각의 다항식을 처음 다항식의 인수라고 해.
인수분해: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해.
인수분해 공식: 인수분해 공식은 다음 식을 이야기해.
2️⃣ 핵심 개념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는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바로 인수분해 하기 힘든 경우를 이야기 해.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인수분해 할 수 있어.
공통인수가 있는 경우 공통인수로 묶어 낸 뒤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하면 돼.
예를 들어,
공통부분이 있는 경우 공통부분을 한 문자로 바꾸어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하면 돼.
예를 들어,
공통부분을 적당한 문자로 바꾸어 인수분해 한 경우에는 바꾼 식을 마지막에 원래대로 돌려주는 걸 잊으면 안돼!항이 개인 경우 우선,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 되는 개의 항을 찾아서 꼴로 만들어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하면 돼.
예를 들어,
만약, 완전제곱식이 되는 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공통인수가 생기도록 적당한 항끼리 묶어서 인수분해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항이 개 이상인 경우 차수가 낮은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공통인수가 생기도록 적당한 항끼리 묶어서 인수분해 할 수 있어.
특히, 항이 개인 경우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인수분해 가능한 개의 항을 찾아서 공통인수가 생기도록 유도해야 돼.
예를 들어,
또 항이 개인 경우 특별히 두 상수 , 가 아닌 두 다항식에 대해서 인수분해 공식 를 이용하여 인수분해 할 수도 있어.
예를 들어,
3️⃣ 예제 및 적용
실생활 예로, 는
와 같이 인수분해 돼.
이때, 컴퓨터를 이용해 에 대하여 식의 값을 구하고자 하면 인수분해가 되기 전의 식은 와 같이 덧셈 번, 곱셈 번으로 총 번의 연산을 해야 하지만 인수분해를 한 식은 와 같이 덧셈 번, 곱셈 번으로 총 번의 연산을 통해 식의 값을 구할 수 있어.
이와 같은 연산 횟수의 차이는 식이 길면 길수록 차이가 많이 나게 되는데 인수분해를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높여줄 수 있어.
4️⃣ 개념 정리
- 공통인수가 있는 경우 공통인수로 묶어 낸 뒤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하면 돼.
- 공통부분이 있는 경우 공통부분을 한 문자로 바꾸어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하면 돼.
- 항이 개인 경우 우선,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 되는 개의 항을 찾아서 꼴로 만들어 인수분해 공식을 적용하면 돼.
- 항이 개 이상인 경우 차수가 낮은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공통인수가 생기도록 적당한 항끼리 묶어서 인수분해 할 수 있어.
학습 팁: 연습할 때는 항상 식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공통된 모양이나 수를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자!
특히,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를 하기 위해서는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 인수분해를 충분히 연습하고 잘할 수 있어야 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함께 풀어보자! 😊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를 실생활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부분식의 공통부분을 찾는 방법을 더 쉽게 하는 팁이 있을까?
인수분해를 할 때, 복잡한 식에서 공통인수가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EBS 수학의 답]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 공통부분이 있는 인수분해(서술형)(1)
[중등인강/중3 수학] 복잡한 식의 인수분해 - 수박씨닷컴 장계환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