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분해 공식(2)
'인수분해 공식(2)'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인수분해 공식(2)를 이해하려면 인수, 인수분해와 곱셈공식(2)을 알아야해.
인수: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했을 때, 각각의 다항식을 처음 다항식의 인수라고 해.
인수분해: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해.
곱셈공식(2): 곱셈공식(2)는 다음 식을 이야기해.
2️⃣ 핵심 개념
다음과 같은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을 떼어낸 도형의 넓이를 생각해 볼 거야.
전체 정사각형의 넓이는 이고 떨어져 나간 정사각형의 넓이는 이므로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이 떨어져 나가고 남은 부분의 넓이는 으로 표현할 수 있어.이번에는 위의 도형에서 점선을 따라 잘라 생긴 사각형을 옆에 이어 붙여서 생긴 직사각형을 생각해 볼 거야.
합쳐진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가 , 세로의 길이가 이므로 합쳐진 직사각형의 넓이를 로 표현할 수 있어.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이 떨어져 나가고 남은 부분의 넓이와 점선을 따라 잘라 생긴 사각형을 옆에 이어 붙여서 생긴 직사각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임을 알 수 있어.
이는 잘 살펴보면 곱셈공식(2)의 좌변과 우변을 바꾼 것과 같은데 이를 통해서 인수분해 공식(2)를 얻을 수 있어.인수분해 공식(2)는 다음과 같아:
3️⃣ 예제 및 적용
예를 들어, 다항식 를 인수분해 해보자.
4️⃣ 개념 정리
- 인수분해 공식(2)는 다음과 같아:
학습팁: 인수분해 하려는 다항식의 항의 개수가 두 개라면 인수분해 공식(2)를 사용할 수 있을지 확인해보면 좋아! 😊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인수분해 공식(2)'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공식을 실생활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항이 두 개면 무조건 인수분해 공식(2)를 적용할 수 있을까?
인수분해 공식(2)을 이용해 수를 빠르게 계산하는 방법은?
[EBS 수학의 답] 인수분해 공식 - 인수분해공식(2) 합차의 곱을 이용한 인수분해(2)
[EBS 수학의 답] 인수분해 공식 - 인수분해공식(2) 합차의 곱을 이용한 인수분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