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를 이해하려면 인수, 인수분해, 분배법칙을 알아야해.

  • 인수: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했을 때, 각각의 다항식을 처음 다항식의 인수라고 해.

  • 인수분해: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해.

  • 분배법칙: 어떤 두 수의 합에 어떤 수를 곱한 것은 두 수 각각을 곱하여 더한 것과 같다는 것으로
    세 수 aa, bb, cc에 대하여
    a×(b+c)=a×b+a×ca \times (b + c) = a \times b + a \times c
    (a+b)×c=a×c+b×c(a + b) \times c = a \times c + b \times c
    가 성립하는 걸 뜻해.


2️⃣ 핵심 개념

공통인수란 다항식의 각 항에 공통으로 있는 인수를 이야기해.

  • 예를 들어, 다항식 ab+aab + a의 각 항마다 인수를 고려해보면 2x22x^2의 경우 11, aa, bb, abab이고
    aa의 경우 11, aa으로 각 항의 공통인수는 11, aa야.

  • 이때, 공통인수 aa에 대해서 분배법칙을 이용하면
    ab+a=a(b+1)ab + a = a(b + 1)과 같이 인수분해 할 수 있어.

따라서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방법은
다항식의 각 항에 공통인수가 있을 때 공통인수로 묶어내어 인수분해 하는거야.
즉, ma+mb=m(a+b)ma + mb = m(a + b)

  • 예를 들어, 다항식 2x2+4x2x^2 + 4x는 공통인수 2x2x을 이용하여
    2x2+4x=2x(x+1)2x^2 + 4x = 2x(x + 1)로 인수분해 할 수 있어.

  • 다만 공통인수를 이용하여 인수분해 할 때는 다항식의 공통인수가 더이상 남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해.
    즉, 위의 예시에서 공통인수 22를 이용하여
    2x2+4x=2(x2+2x)2x^2 + 4x = 2(x^2 + 2x)와 같이 인수분해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해.


3️⃣ 예제 및 적용

  • 예를 들어, 2x2y+3xy6x3y2=xy(2x+36x2y)2x^2y + 3xy - 6x^3y^2 = xy(2x + 3 - 6x^2y)
    여기서 주의할 점은 세 개의 항 모두 고려하여 공통인수를 찾아 인수분해 해야된다는 거야!

4️⃣ 개념 정리

  • 공통인수는 다항식의 각 항에 공통으로 있는 인수를 이야기해.
  •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는 다항식의 각 항에 대해서 공통인수를 찾아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묶어내는 거야.
  • 인수분해할 때는 항상 먼저 공통인수를 찾는 것부터 시작하는 게 좋아!
  • 분배법칙을 거꾸로 생각하면 인수분해가 훨씬 쉬워질거야!

학습 팁: 분배법칙을 역으로 활용한다고 생각하고 공통인수를 찾을 때에는 모든 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하면 인수분해를 잘할 수 있을거야! 😊


공통인수를 찾을 때 숫자와 문자는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가 실생활 문제에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공통인수가 없으면 인수분해를 할 수 없는 걸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공통인수를 찾을 때 숫자와 문자는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가 실생활 문제에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 공통인수가 없으면 인수분해를 할 수 없는 걸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인수분해 - 공통인수를 이용한 인수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