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분해
'인수분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인수분해를 이해하려면 곱셈공식을 잘 알아야해.
- 곱셈공식은 다음 식 들을 이야기해.
2️⃣ 핵심 개념
소인수는 어떤 자연수의 소수인 인수, 소인수분해는 어떤 자연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표현한 것을 뜻했어.
예를 들어, 이고 반대로 의 소인수 , 을 이용해 소인수분해 하면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어.
이와 비슷하게 다항식에서도 두 일차식의 곱 을 곱셈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하면 이고 좌변과 우변의 위치를 바꾸어 보면
이므로
다항식 가 두 일차식 과 의 곱으로 표현됨을 알 수 있어.
위의 다항식처럼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될 때, 각각의 다항식을 인수라고 이야기해.
- 예를 들어, 다항식 는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의 인수는 , , , 야.
인수분해는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 즉, 인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해. 그리고 그렇게 나타낸 것을 '다항식을 인수분해 했다.'라고 표현할 거야.
예를 들어, 처럼 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거야.
만약 가 어떤 다항식을 인수분해 한건지 알고 싶다면
처럼 전개하여 알 수 있어.
즉, 인수분해는 전개의 반대방향임을 알 수 있어.
특히, 곱셈공식과 인수분해는 역관계에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어.
3️⃣ 개념 정리
-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할 때, 그 각각의 다항식을 처음 다항식의 인수라고 해.
- 인수분해는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해.
- 곱셈공식과 인수분해는 역관계에 있어.
학습 팁: 중학교 1학년 때 학습한 소인수 분해와 비교하면서 이해하면 좋아! 😊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인수분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인수분해를 하기 위해서 곱셈공식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인수분해가 우리 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예는 뭐가 있을까?
인수분해는 어디에 활용될까?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