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공식 (2)'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곱셈공식(2)를 이해하려면 먼저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에 대해서 알아야 해.

  •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분배법칙을 활용해 한 다항식의 각 항을 다른 다항식의 모든 항에 곱하여 계산해.
    즉, 두 다항식 (a+b)(a+b), (c+d)(c+d)에 대해서
    (a+b)(c+d)=ac+ad+bc+bd(a+b)(c+d) = ac + ad + bc + bd 와 같이 전개할 수 있어.

2️⃣ 핵심 개념

  • 우선, 다음과 같은 직사각형의 넓이를 생각해보자.
    곱셈공식(2) 설명 사각형-2.png 전체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a+ba+b, aba-b이므로
    넓이는 (a+b)(ab)(a+b)(a-b)야.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해.
    (a+b)(ab)=a(ab)+b(ab)(a+b)(a-b) = a(a-b) + b(a-b)
    =a2ab+abb2\hspace{2.18cm} = a^2 -ab +ab -b^2
    =a2b2\hspace{2.18cm} = a^2 -b^2

또 다른 방법으로 (a+b)(ab)(a+b)(a-b)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전개해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a+b)(ab)=a2ab+abb2(a+b)(a-b) = a^2 - ab + ab - b^2
=a2b2\hspace{2.17cm} = a^2 - b^2

  • 정리하면 곱셈공식(2)는 다음과 같아.
    (a+b)(ab)=a2b2(a+b)(a-b) = a^2 - b^2

이 공식은 복잡한 다항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개할 수 있게 해줘!


3️⃣ 예제 및 적용

  • 예를 들어, (2x+5)(2x5)(2x+5)(2x-5)를 계산해 보자!
    (2x+5)(2x5)=(2x)252(2x+5)(2x-5) = (2x)^2 - 5^2
    =4x225\hspace{2.62cm} = 4x^2 - 25
  • 실생활 예로, 가로가 3a+b3a+b, 세로가 3ab3a-b인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할 때 곱셈공식(2)를 이용하여 (3a+b)(3ab)=9a2b2(3a+b)(3a-b) = 9a^2 - b^2과 같이 표현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곱셈공식(2)는 다음과 같아. (a+b)(ab)=a2b2(a+b)(a-b) = a^2 - b^2
  • 두 식의 곱에서 중간 항은 없어지고, 제곱의 차만 남는다는 점이 핵심!

학습 팁: 연습할 때는 항의 부호에 주의하고, 각각의 제곱을 정확히 계산하는 습관을 들이자! 😊


(a+b)(ab)(a+b)(a-b) 공식은 어떤 상황에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을까?
곱셈공식(1)과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a+b)(ab)(a+b)(a-b)에서 중간 항이 사라지는 이유는 뭘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곱셈공식 (2)'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a+b)(ab)(a+b)(a-b) 공식은 어떤 상황에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을까?

  • 곱셈공식(1)과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a+b)(ab)(a+b)(a-b)에서 중간 항이 사라지는 이유는 뭘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곱셈공식 - 곱셈공식(2) 합과 차의 곱(서술형)(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