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다항식의 곱셈을 이해하려면 먼저 다항식분배법칙이 무엇인지 알아야 해.

  • 다항식은 하나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을 뜻해.
    예를 들어, 2x+y2x + y, 3x2-3x^2, 77는 모두 다항식이야.
  • 분배법칙은 어떤 두 수의 합에 어떤 수를 곱한 것은 두 수 각각을 곱하여 더한 것과 같다는 것으로
    세 수 aa, bb, cc에 대하여
    a×(b+c)=a×b+a×ca \times (b + c) = a \times b + a \times c
    (a+b)×c=a×c+b×c(a + b) \times c = a \times c + b \times c
    가 성립하는 걸 뜻해.

2️⃣ 핵심 개념

  • 우선, 다음과 같은 직사각형의 넓이를 생각해보자.
    다항식의 곱셈 설명 사각형2.png 전체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a+ba+b, c+dc+d이므로 넓이는 (a+b)(c+d)(a+b)(c+d)야.
    이때, 각각의 직사각형 넓이가 abab, adad, bcbc, bdbd이므로 (a+b)(c+d)=ab+ad+bc+bd(a+b)(c+d) = ab + ad + bc + bd임을 알 수 있어.

  • 또 다른 방법으로 두 다항식의 곱 (a+b)(c+d)(a+b)(c+d)에서 (c+d)=X(c+d) = X라 한다면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a+b)(c+d)=(a+b)X(a+b)(c+d) = (a+b)X
    =aX+bX\hspace{2.17cm} = aX + bX
    =a(c+d)+b(c+d)\hspace{2.17cm} = a(c+d) + b(c+d)
    =ac+ad+bc+bd\hspace{2.17cm} = ac + ad + bc + bd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어.

  • 정리하면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
    두 다항식 (a+b)(a+b), (c+d)(c+d)에 대해서
    (a+b)(c+d)=ac+ad+bc+bd(a+b)(c+d) = ac + ad + bc + bd 와 같이 전개할 수 있어.


3️⃣ 예제 및 적용

실생활 예를 들어볼게!

  • 만약 가로가 (x+2) m(x + 2)\ \text{m}, 세로가 (x+3) m(x + 3)\ \text{m} 인 직사각형 모양의 정원이 있다고 해보자.
    이 정원의 넓이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곱한 것과 같으니까, (x+2)(x+3)(x + 2)(x + 3)이야.
    따라서 정원의 넓이를 계산하면
    (x+2)(x+3)=x2+3x+2x+6(x+2)(x+3) = x^2 + 3x + 2x + 6
    =x2+5x+6 (m2)\hspace{2.26cm} = x^2 + 5x + 6\ (\text{m}^2)
    으로 계산할 수 있어.
  • 이렇게 다항식 곱셈은 면적 계산 같은 실생활 문제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줘!

4️⃣ 개념 정리

  •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분배법칙을 활용해 한 다항식의 각 항을 다른 다항식의 모든 항에 곱하여 계산해.
    즉, 두 다항식 (a+b)(a+b), (c+d)(c+d)에 대해서
    (a+b)(c+d)=ac+ad+bc+bd(a+b)(c+d) = ac + ad + bc + bd 와 같이 전개할 수 있어.
  • 곱한 결과에서 동류항을 모아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해.

학습 팁: 계산할 때 항을 빠뜨리지 않고 차근차근 곱하는 습관을 가지면 좋아!
궁금하면 언제든 물어봐! 😊


다항식 곱셈에서 분배법칙을 꼭 써야 하는 이유는 뭘까?
다항식 곱셈을 이용해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동류항끼리 모으지 않으면 계산 결과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다항식 곱셈에서 분배법칙을 꼭 써야 하는 이유는 뭘까?

  • 다항식 곱셈을 이용해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 동류항끼리 모으지 않으면 계산 결과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다항식의 곱셈 - 다항식과 다항식의 곱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