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1. A = B = C 꼴의 방정식의 풀이
꼴의 연립방정식은 다음 세 연립방정식 중 하나의 꼴로 바꾸고 풀면 돼. 이 때, 세 연립방정식의 해는 모두 같으므로 가장 간단한 것을 선택한 후 해를 구하면 돼.
- 예를 들어, 가 만약 상수라면 가장 오른쪽에 있는 식으로 연립방정식을 세운 후 푸는 것이 좋겠지?
2. 해가 특수한 연립방정식
해가 무수히 많은 연립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한 일차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했는데, 나머지 방정식과 같아지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무수히 많아.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한 일차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했는데, 나머지 방정식과 , 의 계수는 각각 같지만 상수항이 다르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없어.
개념 더 알아보기에서 이 경우를 단숨에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 개념 더 알아보기
연립방정식 에서
일 때
해가 무수히 많다.일 때
해가 없다.일 때
해가 하나이다. (요 경우에 우리가 배웠던 가감법이나 대입법으로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했어)
3️⃣ 예제 살펴보기
다음 세 연립방정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가장 아래식으로 계산하기가 간단해.
아래식을 가감법으로 풀면 , 가 나오는데 나머지 두 식을 풀어도 똑같이 나와.
- 이번엔 아래 표를 보고 해가 특수한 연립방정식의 경우를 살펴보자.
| 연립방정식 | 비교 | 해의 개수 |
|---|---|---|
| 무수히 많다. | ||
| 해가 없다. | ||
| 해가 한 개이다. |
꼴 연립방정식에서 해가 무수히 많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과 해가 무수히 많은 연립방정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꼴 연립방정식에서 해가 무수히 많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과 해가 무수히 많은 연립방정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EBS 수학의 답] 일차방정식 - 특수한 해를 갖는 방정식
[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A=B=C 꼴인 방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