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1. A = B = C 꼴의 방정식의 풀이

A=B=CA = B = C 꼴의 연립방정식은 다음 세 연립방정식 중 하나의 꼴로 바꾸고 풀면 돼. 이 때, 세 연립방정식의 해는 모두 같으므로 가장 간단한 것을 선택한 후 해를 구하면 돼.
{A=BA=C{A=BB=C{A=CB=C\left\{ \begin{array}{l} A = B \\ A = C \end{array} \right. \quad \left\{ \begin{array}{l} A = B \\ B = C \end{array} \right. \quad \left\{ \begin{array}{l} A = C \\ B = C \end{array} \right.

  • 예를 들어, CC가 만약 상수라면 가장 오른쪽에 있는 식으로 연립방정식을 세운 후 푸는 것이 좋겠지?

2. 해가 특수한 연립방정식

  • 해가 무수히 많은 연립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한 일차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했는데, 나머지 방정식과 같아지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무수히 많아.

  •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한 일차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했는데, 나머지 방정식과 xx, yy의 계수는 각각 같지만 상수항이 다르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없어.

  • 개념 더 알아보기에서 이 경우를 단숨에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 개념 더 알아보기

연립방정식 {ax+by=cax+by=c\left\{ \begin{array}{l} ax + by = c \\ a'x + b'y = c' \end{array} \right.에서

  • aa=bb=cc\dfrac{a}{a'} = \dfrac{b}{b'} = \dfrac{c}{c'}일 때
    \rightarrow 해가 무수히 많다.

  • aa=bbcc\dfrac{a}{a'} = \dfrac{b}{b'} \neq \dfrac{c}{c'}일 때
    \rightarrow 해가 없다.

  • aabb\dfrac{a}{a'} \neq \dfrac{b}{b'}일 때
    \rightarrow 해가 하나이다. (요 경우에 우리가 배웠던 가감법이나 대입법으로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했어)


3️⃣ 예제 살펴보기

  • 5x2y=3x+y=35x - 2y = -3x + y = 3
    다음 세 연립방정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가장 아래식으로 계산하기가 간단해.

{5x2y=3x+y5x2y=3\left\{ \begin{array}{l} 5x - 2y = -3x + y \\ 5x - 2y = 3 \end{array} \right.

{5x2y=3x+y3x+y=3\left\{ \begin{array}{l} 5x - 2y = -3x + y \\ -3x + y = 3 \end{array} \right.

{5x2y=33x+y=3\left\{ \begin{array}{l} 5x - 2y = 3 \\ -3x + y = 3 \end{array} \right.

아래식을 가감법으로 풀면 x=9x = -9, y=24y = -24가 나오는데 나머지 두 식을 풀어도 똑같이 나와.

  • 이번엔 아래 표를 보고 해가 특수한 연립방정식의 경우를 살펴보자.
연립방정식 aa\dfrac{a}{a'} bb\dfrac{b}{b'} cc\dfrac{c}{c'} 비교 해의 개수
{2x6y=10x3y=5\left\{\begin{array}{l}2x - 6y = -10 \\x - 3y = -5\end{array}\right. 21=63=105\dfrac{2}{1} = \dfrac{-6}{-3} = \dfrac{-10}{-5} 무수히 많다.
{9x+15y=53x5y=10\left\{\begin{array}{l}-9x + 15y = 5 \\3x - 5y = -10\end{array}\right. 93=155510\dfrac{-9}{3} = \dfrac{15}{-5} \neq \dfrac{5}{-10} 해가 없다.
{x+6y=52x+4y=1\left\{\begin{array}{l}x + 6y = 5 \\-2x + 4y = 1\end{array}\right. 1264\dfrac{1}{-2} \neq \dfrac{6}{4} 해가 한 개이다.

A=B=CA = B = C꼴 연립방정식에서 해가 무수히 많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과 해가 무수히 많은 연립방정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A=B=CA = B = C꼴 연립방정식에서 해가 무수히 많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 특수한 꼴의 연립방정식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과 해가 무수히 많은 연립방정식의 차이는 무엇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일차방정식 - 특수한 해를 갖는 방정식

  • favicon[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A=B=C 꼴인 방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