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연립방정식의 활용'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연립방정식의 활용 문제 풀이 순서를 다시 정리하면
    미지수 정하기 \rightarrow 연립방정식 세우기 \rightarrow 연립방정식 풀기 \rightarrow 확인하기 !!

  • 오늘은 여러 가지 연립방정식 활용 문제들 중에서, 자주 출제되는 유형들의 식을 세우는 방법을 배워볼 거야!

  1. 두 자리 자연수에 대한 문제:
    십의 자리의 숫자가 xx, 일의 자리의 숫자가 yy이면
    원래의 수: 10x+y10x+y
    십의 자리의 숫자와 일의 자리의 숫자를 바꾼 수: 10y+x10y+x
    로 나타내서 관계식을 세워 풀면 돼.

  2. 거리, 속력, 시간에 대한 문제:
    (거리)=(속력)×(시간)\text{(거리)}=\text{(속력)}\times\text{(시간)}
    (속력)=(거리)(시간)\text{(속력)}=\dfrac{\text(거리)}{\text(시간)}
    (시간)=(거리)(속력)\text{(시간)}=\dfrac{\text(거리)}{\text(속력)}
    기본 공식을 이용해서 방정식을 풀 수 있어.

  3. 소금물의 농도에 대한 문제:
    (소금물의 농도)=(소금의 양)(소금물의 양)×100  (%)\text{(소금물의 농도)} = \dfrac{\text{(소금의 양)}}{\text{(소금물의 양)}} \times 100\;(\%)
    (소금의 양)=(소금물의 농도)100×(소금물의 양)\text{(소금의 양)} = \dfrac{\text{(소금물의 농도)}}{100} \times \text{(소금물의 양)}
    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우고 풀면 돼.

아래에서 예제를 통해 연습하도록 하자!!


2️⃣ 개념 더 알아보기

  • 거리를 왕복하는 문제는 다음을 이용하여 식을 세워~~
    (가는 거리) + (오는 거리) = (전체 거리)
    (갈 때 걸린 시간) + (올 때 걸린 시간) = (전체 걸린 시간)

  • 농도가 다른 두 소금물을 섞는 문제는 다음을 이용하여 식을 세우면 돼~~
    (두 소금물의 양의 합) = (섞은 후 소금물의 양)
    (두 소금물의 소금의 양의 합) = (섞은 후 소금물의 소금의 양)
    소금물에 물을 더 넣거나 소금물에서 물을 증발시켜도 소금의 양은 변하지 않아.


3️⃣ 예제 살펴보기

자주 나오는 문제 유형들을 상황에 맞게 연립방정식을 세우는 연습을 해보자.

  1. 두 자리 자연수에 대한 문제
  • 두 자리의 자연수가 있어. 이 수의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88이고, 십의 자리 숫자와 일의 자리 숫자를 바꾼 수는 처음의 수보다 3636이 크다고 해. 이때 처음의 수를 구해보자.
    십의 자리 숫자: xx, 일의 자리 숫자: yy라고 하면,
    원래 수 = 10x+y10x + y
    자리 바꾼 수 = 10y+x10y +x
    연립방정식 :
    {x+y=8(10y+x)=(10x+y)+36\begin{cases} x + y = 8 \\ (10y+x)=(10x+y)+36 \end{cases}
  1. 거리, 속력, 시간에 대한 문제
  • 총거리가 10 km10\ \text{km} 인 등산로가 있어. 올라갈 때는 시속 4 km4\ \text{km}로 걷고, 내려올 때는 시속 2 km2\ \text{km}로 걸어서 총 44시간이 걸렸다고 할 때, 올라갈 때 걸린 시간을 구해보자.
    올라 갈 때 걸린 시간: xx, 내려 올 때 걸린 시간: yy라고 하면,
    연립방정식 :
    {4x+2y=10x+y=4\begin{cases} 4x + 2y = 10 \\ x+y=4 \end{cases}
  1. 비용 문제
  • 사탕 33개와 초콜릿 22개의 가격은 3,1003,100 원이고, 사탕 22개와 초콜릿 44개의 가격은 4,2004,200원이라고 할 떄,.
    사탕 11개의 가격과 초콜릿 11개의 가격을 구해 보자.
    사탕 11개의 가격을 xx, 초콜릿 11개의 가격을 yy라 두면
    연립방정식 :
    {3x+2y=31002x+4y=4200\begin{cases} 3x + 2y = 3100 \\ 2x+4y=4200 \end{cases}
  1. 나이에 대한 문제
  • 현재 아버지와 철수의 나이의 합은 5050살이고, 55년 후에는 아버지의 나이가 철수 나이의 33배가 된다고 해. 현재 철수의 나이는?
    철수 나이: xx, 아버지 나이: yy
    연립방정식 :
    {x+y=50y+5=3(x+5)\begin{cases} x + y = 50 \\ y+5=3(x+5) \end{cases}
  1. 학생 수에 대한 문제
  • 어느 학교의 작년 신입생 수는 200200명이었어. 올해 남학생 수는 작년에 비해 10%10\% 감소하고, 여학생 수는 5%5\%증가하여 전체적으로 학생 수는 88명 감소하였다면 작년의 남학생 수는?
    작년 남학생 수: xx, 작년 여학생 수: yy
    작년 총 학생 수: x+yx + y
    학생 수가 p%p\% 줄었을 때 (1p100)×(1 - \dfrac{p}{100}) \times학생 수
    학생 수가 p%p\% 늘었을 때 (1+p100)×(1 + \dfrac{p}{100}) \times학생 수
    연립방정식 :
    {x+y=200x×90100+y×105100=192\begin{cases} x + y = 200 \\ x \times \dfrac{90}{100} + y \times \dfrac{105}{100} = 192 \end{cases}
  1. 농도에 대한 문제
  • 88%의 소금물과 55%의 소금물을 섞어서 66%의 소금물 300  g300 \;\text{g}을 만들었다면 88%의 소금물은 몇 g\text{g} 섞었는지 구해보자.
    88%의 소금물의 양을 x  gx\;\text{g}, 55%의 소금물의 양을 y  gy\;\text{g}이라 하면
    연립방정식 :
    {x+y=3008100x+5100y=6100×300\begin{cases} x + y = 300 \\ \dfrac{8}{100}x + \dfrac{5}{100}y = \dfrac{6}{100} \times 300 \end{cases}

이렇게 알맞은 미지수를 정하고 연립방정식을 세워 해를 구할 수 있어!!
차근차근 순서대로 풀어나가면 어렵지 않아.^^


두 자리 수 문제에서 자리 바꾼 수가 원래 수의 3배일 때 식은 어떻게 세울까?
속력과 시간 중 하나가 변하면 거리는 어떻게 달라질까?
나이 문제에서 몇 년 뒤 아빠 나이가 철수 나이의 2배라면 식을 어떻게 세울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여러 가지 연립방정식의 활용'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두 자리 수 문제에서 자리 바꾼 수가 원래 수의 3배일 때 식은 어떻게 세울까?

  • 속력과 시간 중 하나가 변하면 거리는 어떻게 달라질까?

  • 나이 문제에서 몇 년 뒤 아빠 나이가 철수 나이의 2배라면 식을 어떻게 세울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일의 양)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학생 수 증감량)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농도, 물만 추가되는 경우)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처음 수, 바꾼 수)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속력, 걸어가다 뛰어감)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비율)

  • favicon[EBS 수학의 답] 연립방정식의 활용 - 연립방정식의 활용(도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