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식을 더하거나 빼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연립방정식을 푸는 방법에는 대입법과 가감법이 있는데, 이번에는 가감법을 배울 거야.
  • 가감법은 연립방정식에서 두 방정식을 변끼리 더하거나 빼어서 한 미지수를 없앤 후 나머지 미지수를 구하는 방법이야. 순서는 다음과 같아.
    각 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하여 없애려는 미지수의 계수의 절댓값을 같게하고,
    의 두 방정식을 변끼리 더하거나 빼어서 한 미지수의 값을 구해.
    에서 구한 값을 둘 중 하나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다른 미지수의 값을 구하면 돼.
  • 예를 들어
    가감법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
    {x+y=3x+y=1\begin{cases} x + y = -3 \quad \cdots \text{①} \\ -x + y = -1 \quad \cdots \text{②} \end{cases}을 풀어 보자.
    +① + ②을 하면
    (x+y)+(x+y)=3+(1)(x + y) + (-x + y) = -3 + (-1)
    2y=4,  y=22y=-4, \qquad \therefore\; y=-2
    y=2y=-2에 대입하면
    x2=3  x=1x-2=-3 \qquad \therefore\; x=-1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는 x=1,  y=2x=-1,\;y=-2 가 돼.

2️⃣ 개념 더 알아보기

  • 가감법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없애려는 미지수의 계수의 절댓값을 같게 한 후
    부호가 같으면 두 식을 변끼리 빼고.
    부호가 다르면 두 식을 변끼리 더해야 해.
    그래야 한 미지수를 없애서 나머지 미지수의 값을 구할 수 있거든.

3️⃣ 예제 살펴보기

  • 예제 1 : 계수가 같거나 부호만 다른 경우
    {x+y=42xy=2\begin{cases} x + y = 4 \quad \cdots \text{①} \\ 2x - y = 2 \quad \cdots \text{②} \end{cases}
    +① + ②을 해보자
    (x+y)+(2xy)=4+2(x + y) + (2x - y) = 4 + 2
    3x=6  x=23x = 6 \qquad\therefore\; x=2
    x=2x =2 에 대입하면
    2+y=4  y=22+y=4 \qquad \therefore\;y=2
    따라서 x=2,  y=2x=2,\;y=2가 돼.

  • 예제 2 : 계수가 다른 경우
    {x+y=53x2y=10\begin{cases} x + y = 5 \quad \cdots \text{①} \\ 3x - 2y = 10 \quad \cdots \text{②} \end{cases}
    22을 곱해서 yy 의 계수를 맞춰줘.
    {2x+2y=103x2y=10\begin{cases} 2x + 2y = 10 \quad \cdots \text{③}\\ 3x - 2y = 10 \quad \cdots \text{④} \end{cases}
    두 식을 더하면:
    (2x+2y)+(3x2y)=10+10(2x + 2y) + (3x - 2y) = 10 + 10
    5x=20  x=45x = 20 \qquad\therefore\; x =4
    x=4x=4 식에 대입하면
    4+y=5  y=14+y=5 \qquad \therefore\; y=1
    따라서 x=4,  y=1x =4,\;y=1 가 돼.


두 식을 더하거나 빼서 미지수를 없애는 방법이 왜 항상 가능한 걸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두 식을 더하거나 빼는 방법'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두 식을 더하거나 빼서 미지수를 없애는 방법이 왜 항상 가능한 걸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풀이(가감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