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식을 더하거나 빼는 방법
'두 식을 더하거나 빼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연립방정식을 푸는 방법에는 대입법과 가감법이 있는데, 이번에는 가감법을 배울 거야.
- 가감법은 연립방정식에서 두 방정식을 변끼리 더하거나 빼어서 한 미지수를 없앤 후 나머지 미지수를 구하는 방법이야. 순서는 다음과 같아.
각 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하여 없애려는 미지수의 계수의 절댓값을 같게하고,
의 두 방정식을 변끼리 더하거나 빼어서 한 미지수의 값을 구해.
에서 구한 값을 둘 중 하나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다른 미지수의 값을 구하면 돼. - 예를 들어
가감법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
을 풀어 보자.
을 하면
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연립방정식의 해는 가 돼.
2️⃣ 개념 더 알아보기
- 가감법을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없애려는 미지수의 계수의 절댓값을 같게 한 후
부호가 같으면 두 식을 변끼리 빼고.
부호가 다르면 두 식을 변끼리 더해야 해.
그래야 한 미지수를 없애서 나머지 미지수의 값을 구할 수 있거든.
3️⃣ 예제 살펴보기
예제 1 : 계수가 같거나 부호만 다른 경우
을 해보자
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가 돼.예제 2 : 계수가 다른 경우
에 을 곱해서 의 계수를 맞춰줘.
두 식을 더하면:
를 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가 돼.
두 식을 더하거나 빼서 미지수를 없애는 방법이 왜 항상 가능한 걸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두 식을 더하거나 빼는 방법'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두 식을 더하거나 빼서 미지수를 없애는 방법이 왜 항상 가능한 걸까?
[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풀이(가감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