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의 대입을 이용하는 방법
'식의 대입을 이용하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연립방정식이란 두 개 이상의 방정식을 묶어놓은 것을 말해.
- 미지수가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은 와 같은 미지수가 두 개이고, 각각 일차식으로 이루어진 두 개 이상의 방정식을 묶어 놓은 것을 말해.
- 이때 연립방정식의 해란, 두 식을 모두 만족하는 미지수들의 값을 말해. 우리가 연립방정식을 풀다는 건, 바로 이 해를 구하는 과정이야.
- 연립방정식을 푸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식을 대입해서 해를 구하는 대입법, 다른 하나는 식끼리 더하거나 빼서 해를 구하는 가감법 이 있어. 오늘은 그중에서 대입법 을 배워볼 거야.
2️⃣ 핵심 개념
식의 대입법은 이렇게 해!
연립방정식의 대입법이란 두 개(이상)의 방정식 중 하나의 방정식에서 변수 중 하나를 다른 변수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다음, 그것을 다른 방정식에 대입하여 미지수의 값을 찾는 방법이야.
자세한 방법은 아래와 같아.
과 같은 연립방정식에서
- 두 식 중에서 한 식을 하나의 변수에 대해 정리해. 예를 들어, 첫 번째 식을 한 변수에 대해 다른 변수로 표현하는 거야.
- 그 다음, 이렇게 정리한 식을 다른 식에 대입해. 즉, 두 번째 식에서 대신 을 넣는 거지.
- 그러면 변수가 하나만 있는 식이 나오니까, 그 식을 풀어서 의 값을 구할 수 있어.
- 마지막으로, 구한 값을 처음에 두 식 중 아무 식에 다시 대입해서 값을 구해.
- 이렇게 하면 두 변수의 값을 모두 구할 수 있고, 이 값이 바로 연립방정식의 해야.
3️⃣ 예제 및 적용
예제 1:
두 번째 식이 이니까, 를 첫 번째 식에 대입하면
을 두 식 중 아무 식에 대입하면예제 2:
두 번째 식이 이니까, 를 첫 번째 식에 대입하면
을 두 식 중 아무 식에 대입하면
4️⃣ 개념 정리
- 연립방정식을 푸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식을 대입해서 해를 구하는 대입법, 다른 하나는 식끼리 더하거나 빼서 해를 구하는 가감법 이 있어.
- 대입법은 한 식에서 한 변수를 다른 변수로 표현하고, 그 식을 다른 식에 넣어 변수를 하나로 줄이는 방법이야.
- 이 방법을 쓰면 복잡한 식도 쉽게 풀 수 있어.
- 문제를 풀 때는 한 식을 정리 → 다른 식에 대입 → 변수 하나만 있는 식 풀기 → 다시 대입해서 다른 변수 구하기 순서만 잘 기억하면 돼!
- 연습 많이 하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풀 수 있어 😊
식의 대입법을 이용해 두 변수의 관계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을까?
대입법을 쓸 때 변수를 정리하는 순서가 결과에 영향을 줄까?
두 식이 모두 0이 되는 값을 찾는 게 왜 연립방정식의 해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식의 대입을 이용하는 방법'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식의 대입법을 이용해 두 변수의 관계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을까?
대입법을 쓸 때 변수를 정리하는 순서가 결과에 영향을 줄까?
두 식이 모두 0이 되는 값을 찾는 게 왜 연립방정식의 해일까?
[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풀이(대입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