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방정식의 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 연립방정식의 해란, 연립방정식에서 두 일차방정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yx, y의 값 또는 그 순서쌍 (x,y)(x,y)을 말해.
    예를 들어, 두 미지수 x,yx, y가 있을 때, 두 개의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x,yx, y의 값이 바로 연립방정식의 해야.
  • 연립방정식을 푼다란,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을 말해.
    즉, 연립방정식의 미지수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 모든 방정식이 동시에 참이 되도록 하는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거야.
  • 예를 들어, {3x+y=52xy=0\begin{cases} 3 x + y = 5 \\ 2 x - y = 0 \end{cases}
    의 연립방정식이 있어. 이때, (3,3),(2,4),(1,2)(3, 3), (2, 4), (1, 2) 중에서 연립방정식의 해가 무엇인지 찾아보자!

먼저, (3,3)(3, 3)을 대입하면,
{3×3+3=1252×33=60\begin{cases} 3 \times 3 + 3 =12 \neq 5 \\ 2 \times 3 - 3 = 6 \neq 0 \end{cases}
두 식 모두 만족하지 않으므로, (3,3)(3, 3)은 연립방정식의 해가 아니야!

다음으로, (2,4)(2, 4)를 대입하면,
{3×2+4=1052×24=0\begin{cases} 3 \times 2 + 4 =10 \neq 5 \\ 2 \times 2 - 4 = 0 \end{cases}
두 번째 식은 만족하지만, 첫 번째 식은 만족하지 않으므로, (2,4)(2, 4)는 연립방정식의 해가 아니야!

마지막으로, (1,2)(1, 2)를 대입하면,
{3×1+2=52×12=0\begin{cases} 3 \times 1 + 2 =5 \\ 2 \times 1 - 2 = 0 \end{cases}
두 식을 모두 만족하므로, (1,2)(1, 2)는 연립방정식의 해가 되는 거야!


2️⃣ 예제 살펴보기

  • 다음 연립방정식 중 x=2,  y=1x=2,\;y=1이 해인 것을 찾아보자.
    {x+y=3x+2y=4\begin{cases} x + y = 3 \\ x + 2 y = 4 \end{cases} \qquad\qquad{xy=12xy=5\begin{cases} x - y = 1 \\ 2 x - y = 5 \end{cases}
      \;
    {3x+y=7x2y=0\begin{cases} 3 x + y = 7 \\ x - 2 y = 0 \end{cases} \qquad\qquad{2x+y=5x3y=2\begin{cases} 2 x + y = 5 \\ x - 3 y = -2 \end{cases}
      \;
    : x=2,  y=1x=2,\;y=1을 각 연립방정식에 대입해 보면
    2+1=3,  2+2×1=4    2+1=3,\; 2+2\times1=4\;\;\rightarrow O
    21=1,  2×21=3    2-1=1,\; 2\times2-1=3\;\;\rightarrow X
    3×2+1=7,  22×1=0    3\times2+1=7,\; 2-2\times1=0\;\;\rightarrow O
    2×2+1=5,  23×1=1    2\times2+1=5,\; 2-3\times1=-1\;\;\rightarrow X

따라서 연립방정식 중 x=2,  y=1x=2,\;y=1가 해인 것은 , 이야!!


연립방정식의 해가 두 식 모두를 만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실생활에서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값을 찾는 경우는 어떤 게 있을까?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은 어떤 상황에서 생길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연립방정식의 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연립방정식의 해가 두 식 모두를 만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실생활에서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값을 찾는 경우는 어떤 게 있을까?

  • 해가 없는 연립방정식은 어떤 상황에서 생길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