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방정식의 해
'연립방정식의 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연립방정식이란 두 개 이상의 방정식을 묶어놓은 것을 말해.
- 미지수가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은 와 같은 미지수가 두 개이고, 각각 일차식으로 이루어진 두 개 이상의 방정식을 묶어 놓은 것을 말해.
- 예를 들어,
이러한 형태의 식이 미지수가 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이야.
2️⃣ 핵심 개념
연립방정식의 해란, 여러 개의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문자들의 값을 말해.
예를 들어, 두 미지수 가 있을 때, 두 개의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의 값이 바로 연립방정식의 해야.연립방정식을 푼다는 말은, 여러 개의 방정식(연립방정식)에 들어 있는 미지수에 어떤 값을 넣었을 때, 모든 방정식이 동시에 참이 되도록 하는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것을 말해. 즉,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이지.
예를 들어,
의 연립방정식이 있어. 이때, 중에서 연립방정식의 해가 무엇인지 찾아보자!
먼저, 을 대입하면,
두 식 모두 만족하지 않으므로, 은 연립방정식의 해가 아니야!
다음으로, 를 대입하면,
두 번째 식은 만족하지만, 첫 번째 식은 만족하지 않으므로, 는 연립방정식의 해가 아니야!
마지막으로, 를 대입하면,
두 식을 모두 만족하므로, 는 연립방정식의 해야!
3️⃣ 예제 및 적용
- 예를 들어, 연립방정식이
이고, 해가 일 때, 와 의 값을 구해보자!
첫 번째 식의 에 를 대입하면:
두 번째 식에 대입하면:
그래서 , 이야. 이처럼 해를 알고 있으면 미지수 도 구할 수 있어!
4️⃣ 개념 정리
- 연립방정식의 해는 여러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문자들의 값을 말해.
- 연립방정식을 푼다는 말은, 여러 개의 방정식(연립방정식)에 들어 있는 미지수에 어떤 값을 넣었을 때, 모든 방정식이 동시에 참이 되도록 하는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것을 말해. 즉,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이지.
- 연립방정식의 해를 알고 있으면, 연립방정식에 해를 대입해서 다른 미지수도 구할 수 있어
공부할 때는 문제에서 주어진 해나 조건을 잘 살펴보고, 식에 차근차근 대입해보는 습관을 들이면 좋아 😊
연립방정식의 해가 없을 수도 있을까?
연립방정식의 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까?
해가 여러 개일 때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연립방정식의 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연립방정식의 해가 없을 수도 있을까?
연립방정식의 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까?
해가 여러 개일 때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연립방정식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