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핵심 개념

  1.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x,  yx,\;y에 대한 일차방정식이 참이 되게 하는 x,  yx,\;y의 값 또는 그 순서쌍 (x,y)(x, y)을 말해.
  • 미지수가 x,  yx,\;y인 일차방정식 2x+3y=122x + 3y = 12에서
    (ⅰ) (1,10)(1, 10) 대입해 보면:
    2×1+3×10=2+30=3212\quad 2 \times 1 + 3 \times 10 = 2 + 30 = 32 \neq 12
    → 거짓이니까 (1,10)(1, 10)는 이 방정식의 해가 아니야.
    (ⅱ) (3,2)(3, 2) 대입해 보면:
    2×3+3×2=6+6=12\quad 2 \times 3 + 3 \times 2 = 6 + 6 = 12
    → 참이니까 (3,2)(3, 2)는 이 방정식의 해가 되는 거야.
  1. 일차방정식의 해를 모두 구하는 것을 방정식을 푼다라고 해.
  • x,  yx,\;y가 자연수일 때, 일차방정식 x+y=3x+y=3를 풀어 보자.
    일차 방정식에 x=1,2,3,x =1,2,3,\cdots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yy의 값을 구해보면
    x=1x=1일 때, y=2y=2, 즉, (1,2)(1, 2)
    x=2x=2일 때, y=1y=1, 즉, (2,1)(2, 1)
    x=3x=3일 때, y=0y=0, 즉, (3,0)(3, 0)
    x=4x=4일 때, y=1y=-1, 즉, (4,1)(4, -1)
    \qquad\quad\quad\quad\vdots
    \Rightarrow x,  yx,\;y가 자연수이므로 구하는 해는 (1,2),  (2,1)(1,2),\;(2,1)이다.

이렇게 xxyy 값을 구하는 과정을 일차방정식을 푼다라고 하는 거야.


2️⃣ 개념 더 알아보기

  • 미지수가 1개인 일차방정식의 해는 1개이지만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는 여러 개일 수 있어.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는 미지수의 범위에 따라 달라져.

3️⃣ 예제 살펴보기

  • x,  yx,\;y가 자연수일 때, 일차방정식 2x+y=72x+y=7를 풀어 보자.
    일차 방정식에 x=1,2,3,x =1,2,3,\cdots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yy의 값을 구해보면
    xx 11 22 33 44 \cdots
    yy 55 33 11 1-1 \cdots
    와 같아.
    따라서 해는 (1,5),  (2,3),  (3,1)(1,5),\;(2,3),\;(3,1)이야.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가 무한히 많은 이유는 뭘까?
일상생활에서 두 가지 미지수를 가진 문제를 어떻게 수학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을까?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에서 하나의 해가 아닌 여러 해를 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가 무한히 많은 이유는 뭘까?

  • 일상생활에서 두 가지 미지수를 가진 문제를 어떻게 수학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을까?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에서 하나의 해가 아닌 여러 해를 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