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xxyy 같은 두 미지수가 포함되고, 미지수의 차수가 모두 11인 식이야.
  • 일반적인 형태는 ax+by=cax + by = c이고, 여기서 a,b,ca, b, c는 숫자야.
    (단, a,b0a, b \neq 0)
  • : 방정식을 참으로 만드는 미지수의 값을 말해.

2️⃣ 핵심 개념

  •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xxyy의 값으로 이루어진 쌍 (x,y)(x, y)야. 이 값들을 방정식에 대입했을 때 방정식이 참이 되어야 해.

  • 예를 들어, 방정식이 2x+3y=122x + 3y = 12라고 해보자.

    • (1,10)(1, 10) 대입해 보면:
      2×1+3×10=2+30=32122 \times 1 + 3 \times 10 = 2 + 30 = 32 \neq 12
      → 거짓이니까 (1,10)(1, 10)는 이 방정식의 해가 아니야.

    • (3,2)(3, 2) 대입해 보면:
      2×3+3×2=6+6=122 \times 3 + 3 \times 2 = 6 + 6 = 12
      → 참이니까 (3,2)(3, 2)는 이 방정식의 해야.

  • 이와 같이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을 만족하는 x,yx, y의 값 또는 그 순서쌍 (x,y)(x, y)을 그 일차방정식의 해라고 한다. 또, 일차방정식의 해를 모두 구하는 것을 방정식을 푼다고 한다.

  • 예를 들어, 방정식이 y=2x+1y = 2x + 1일 때, xx 값에 따라 yy 값을 구해보자.

    • x=1x=1일 때, y=2(1)+1=3y=2(1)+1=3, 즉, (1,3)(1, 3)
    • x=2x=2일 때, y=2(2)+1=5y=2(2)+1=5, 즉, (2,5)(2, 5)
    • x=3x=3일 때, y=2(3)+1=7y=2(3)+1=7, 즉, (3,7)(3, 7)
    • x=4x=4일 때, y=2(4)+1=9y=2(4)+1=9, 즉, (4,9)(4, 9)

\quad\quad\quad\quad\quad\quad\quad\quad\quad\quad\vdots

xx 11 22 33 44 \cdots
yy 2(1)+1=32(1)+1=3 2(2)+1=52(2)+1=5 2(3)+1=72(3)+1=7 2(4)+1=92(4)+1=9 \cdots

이렇게 xxyy 값을 구하는 과정이 바로 일차방정식을 푸는 거야.


3️⃣ 예제 및 적용

다음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 3x4y=53x - 4y = 5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y)(x, y)가 아닌 것은?

(3,1)(3, 1)
(5,2)(5, 2)
(1,2)(-1, -2)
(7,4)(7, 4)
(9,1)(9, 1)

보기의 각 순서쌍을 주어진 식에 대입해보면, ⑤ ((9, 1)\가 일차방정식의 해가 아님을 알 수 있어.


4️⃣ 개념 정리

  •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는 (x,y)(x, y)으로, 방정식을 참으로 만드는 값들이야.
  • 방정식에 (x,y)(x, y)에 숫자를 대입해서 참이면 해, 거짓이면 해가 아니야.
  • 일차방정식을 푸는 건 일차방정식의 해를 모두 구하는 거야.

궁금하면 언제든 물어봐~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까?
왜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는 점들의 모임일까?
미지수 2개인 방정식에서 한 변수 값을 바꾸면 다른 변수는 어떻게 변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까?

  • 왜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는 점들의 모임일까?

  • 미지수 2개인 방정식에서 한 변수 값을 바꾸면 다른 변수는 어떻게 변할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