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개념을 설명해줘

1️⃣ 사전 지식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을 이해하려면 먼저 일차방정식미지수가 뭔지 알아야 해.

  • 미지수란 우리가 아직 모르는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야.
    보통 xx, yy 같은 문자를 써.
  • 일차방정식은 미지수의 차수가 11인 방정식을 말해.
    예를 들어 2x+3=72x + 3 = 7 같은 식이지.

2️⃣ 핵심 개념

  •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xxyy 같은 두 미지수가 포함되고, 미지수의 차수가 모두 11인 식이야.
  • 일반적인 형태는
    ax+by=cax + by = c
    여기서 a,b,ca, b, c는 숫자(상수)이고, aabb00이 아니어야 해. aa 또는 bb00이 되면, 미지수가 사라져서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이 아니게 되기 때문이야.

3️⃣ 예제 및 적용

판별 예제

  1. 옳은 경우
    3x+4y=123x + 4y = 12
    미지수는 x,yx, y 두 개이고, 차수도 각각 11이니까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이 맞아.

  2. 미지수가 11개라서 틀린 경우
    5x7=05x - 7 = 0
    이 방정식은 미지수가 하나(xx)뿐이야. 그러니까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은 아니야.

  3. 차수가 22라서 틀린 경우
    x2+y=5x^2 + y = 5
    여기서 미지수는 22개이지만, xx의 차수가 22이기 때문에 일차방정식이 아니야.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 세우기

  • 네가 친구랑 사탕을 사려고 하는데, 사탕 11개 가격이 xx원, 초콜릿 11개 가격이 yy원이라고 하자.
  • 너희가 사탕 33개, 초콜릿 22개를 샀는데 총 가격이 1,2001,200원이라면
    3x+2y=12003x + 2y = 1200와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어.
  • 여기서 xxyy를 알면 각 사탕과 초콜릿의 가격을 알 수 있지.

4️⃣ 개념 정리

  •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은 두 개의 미지수가 있고, 미지수의 차수가 모두 11인 방정식이야.
  • 일반적으로 ax+by=cax + by = c 꼴로 나타낼 수 있어.
  • 미지수가 11개거나, 미지수의 차수가 22 이상이면 미지수가 22개인 일차방정식이 아니야.
  • 실생활 문제에서 여러 가지 값을 한꺼번에 구할 때 많이 쓰이니까 잘 이해해두면 좋아!

궁금한 거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으로 실생활 문제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과 그래프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에서 한 미지수를 제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어서 질문하기

  • '개념(익히기)' 풀기 Enter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으로 실생활 문제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과 그래프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에서 한 미지수를 제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favicon[EBS 수학의 답]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